1-600.jpg
▲ 인천서부지방산업단지 일대 공장들. /사진 = 기호일보 DB
요즘 인천 중소기업 대표 10명 중 7명은 ‘못살겠다’고 아우성이다. 대기업은 대기업대로, 중소기업은 중소기업 대로 힘들다고 한다.

올해 또 인상된 최저임금과 5인 이상 기업에도 조만간 적용되는 주 52시간 근무제는 기업인들의 짓눌린 어깨에 감당할 수 없는 무게를 더하고 있다. 시달리는 적자에 언제까지 단가 후려치기를 버텨낼 수 있을지 지역 기업인들의 한숨이 멈추지 않는다.

본보는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대한 지역 제조업체의 참담한 현실과 실낱 같은 대안을 3회에 걸쳐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인천지역 2만3천276개 중소 제조업체는 다음 달부터 인상된 최저임금(8천350원)을 적용한다. 지난해보다 820원, 10.9%가 더 올라 설 명절 상여금 마련에다 임금인상분을 반영하느라 기업마다 초비상이다. 또 300인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적용되던 ‘주 52시간 근무제’도 2020년부터는 5인 이상 모든 기업에 적용될 예정이어서 하루빨리 대비책을 짜야 한다.

인천서부산업단지 입주업체들은 이 같은 상황을 IMF 외환위기 때와 비유한다. 그때보다 지역 기업들은 더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고 진단한다. 새 정부 들어 급격하게 변화된 노동정책을 기업이 처한 현실에 대입하기가 불가능하다고 토로한다. 1차 금속제조업계가 몰려 있는 서부산단 업주들은 당장 공장 문을 닫을 생각을 한다. 이들은 대부분 금속제품을 만드는 하청업체들이다.

문제는 물가 상승과 재료비 인상 등으로 발주처에서 시작돼 1차 협력업체로 이어지는 원가 절감 압박(일명 ‘단가 후려치기’)이 이들의 인건비 부담과 겹치면서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데 있다. ‘삼중고’의 악순환이다.

1차 협력업체의 원가 절감 요구는 이들 업체의 납품단가 하락세가 방증한다. 서부산단 내 A기업의 경우 2011년 제조를 마친 금속제품의 1㎏당 납품가는 1천866원이었다. 하지만 2016년 1천856원, 2017년 1천715원까지 떨어졌고 현재도 가격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국내 유수 중견기업의 2차 협력업체인 B기업 사정도 마찬가지다. 2011년 기준 2천 원이었던 금속제품 1㎏당 단가는 2013년 1천950원, 2014년 1천830원, 2015년 1천800원, 2016년 1천700원으로 지속적으로 깎였다. 지난 9년간 물가와 재료비는 가파르게 상승했지만 이들이 만든 제품 단가는 반대로 낮아졌다.

이같이 하도급업체를 최저 단가로 옥죄는 불합리한 체계에서 이들 중소 제조업체가 ‘마진(영업이익)’을 얻기란 불가능하다. 지역 전통 제조업이자 뿌리산업을 지켜온 이들 1차 금속제조업계가 만성 적자에 시달리고 이유다.

A기업의 지난해 총 매출액은 전년 대비 30% 늘었지만 인건비 상승 등으로 1억5천만 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30여 명의 직원을 둔 이 기업이 다음 달 인상된 최저임금을 적용해 월급을 주고 나면 파산할 수도 있다. 규모가 A기업보다 큰 B기업도 최저임금 적용 대상이 아닌 장기 근속자들의 볼멘소리에 난처한 상황이다. 오래 공장을 지켜 온 이들의 급여도 일정 부분 안 올려 줄 수 없어서다.

A기업 대표는 "중소기업들이 싼 단가의 압박을 받고 있는 현실에서 무조건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근로시간을 줄이라는 것은 중소기업이 처한 현실을 하나도 모르는 것"이라며 "중소 하청기업의 먹이사슬 구조를 개선하고 대기업의 고임금과 조 단위의 영업이익, 막대한 정·재계 로비자금 등 관료정치에 쓰이는 헛돈들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데 쓰이는 구조로 변화돼야 한다"고 했다.

조미르인턴기자 jm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최저임금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