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7∼28일 베트남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로 문재인 대통령이 구상해 온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또한 중대 분수령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차 정상회담은 북미가 큰 틀에서 공감대를 이루는 상징적 성격이 강했다고 한다면 이번 2차 정상회담은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과 청와대가 그 어느 때보다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차 북미 회담의 성패는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 사이에서 접점 찾기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따라서 문 대통령은 북미 사이 간극을 좁히는 ‘중재자’ 역할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북미 양자 간 협상에 한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목소리를 내기는 어렵겠지만 물밑에서는 이견 조율에 나설 여지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북미 간 담판 결과가 향후 남북 관계 발전의 동력도 크게 좌우할 수 있어 기회를 살리기 위해 문 대통령과 청와대가 더욱 적극적으로 중재 역에 나설 공산이 크다. 이런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 진전이 집권 중반기를 맞은 문 대통령의 국정 장악력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청와대는 기대하고 있다.

북미 담판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지난해 4·27 판문점 선언이나 9·19 평양공동선언 등에 명시된 남북 협력사업 논의에 급격히 속도가 더해지면서 자연스레 정부의 대북정책에 힘이 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울을 답방해 4차 남북 정상회담을 가질 수도 있고, 야당 일부의 대북정책 공세를 누그러뜨리는 것은 물론 경색된 정국을 타개하는 데도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봉석 기자 kbs@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