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의 핵심 공약 중 하나는 원도심과 신도시가 함께 성장하는 ‘상생특별시 인천’ 만들기다.

 민선 7기는 과거 시정부가 신도시 개발 위주의 정책을 펼쳐 원도심의 주거환경이 크게 낙후됐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민선 7기의 원도심 활성화 대책은 현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소규모 마을 복원 프로젝트인 도시재생 ‘뉴딜’의 틀 안에 있다. 원도심 전담 부시장을 두고 도시재생 총괄 전담기구를 신설해 원도심에 행정력을 집중하고도 있지만 100여 곳에 달하는 지역 내 정비구역의 사업 정체는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과거 시정부의 원도심 개선 실적을 미루어 볼 때 2022년 6월 말까지 잔여 임기 동안 민선 7기가 원도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은 꺼내기 어려워 보인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기자는 민선 7기가 임기 내 신·구도심 간 균형발전의 초석을 다질 수 있는 하나의 사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지역 신·구도심 간 양극화의 정점에 있는 송도국제도시의 구역 경계를 허무는 일이다. 송도국제도시(53㎢)는 동서남북으로 물길이 있는 섬의 형태다. 이 도시에 진입하려면 북측수로(약 7km·유수지) 위에 놓은 다리 5개 중 하나를 반드시 건너야 한다. 이 물리적 울타리는 오늘날 송도국제도시를 연수구에서조차 분리시켜 낼 만한 위력을 가지게 했다.

 이 도시에는 지역의 유지(有志)와 기업·기관·단체의 장(長), 부동산 부호(富戶) 등이 몰려 와 ‘넘사벽’의 부촌을 일궜다. 주민 1인당 연 소득은 4천974만 원으로 국내에서는 강남구(5천115만 원) 다음이며 1인당 월 신용카드 사용액(228만 원) 역시 강남구(229만 원) 다음이다. 땅값은 최근 기준 3.3㎡당 1천401만 원으로 지역 전체 평균(910만 원)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도시는 코앞에 있는 옥련·신흥·용현·동춘동으로 확장되지 못했다. 수질악화와 악취로 몸살을 앓고 있는 북측수로 때문이다. 시는 현재 지역 내 각 유수지의 ‘매립’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상생특별시 인천은 송도특별시의 경계를 허무는 일부터 시작될 수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