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0.jpg
▲ 강화군 양사면 산이포구 터 사진에 컴퓨터 그래픽으로 초가집을 복원한 모습. <강화군 제공>
인천시와 강화군이 3·1운동과 한국전쟁의 아픔을 간직한 ‘산이포구’를 복원한다.

이곳은 황해도 개풍군과 1.8㎞ 떨어진 최북단 마을이다.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내 ‘사라진 마을 복원’이라는 남북 공동 과제를 다뤄 남북 간 동질성 회복도 꾀한다.

11일 시와 군 등에 따르면 양사면 철산리 일원 12만㎡ 터에 산이포구를 복원하고 마을로 조성한다.

국비 54억 원, 시·군비 44억 원을 들여 만남의 마당(주막, 매점, 다방, 방앗간 등) 등 산이포구 마을을 짓는다. 또 통일기원 공원과 조형물·체험시설 설치, 한국전쟁과 고려 항몽·병자호란 등 주요 전쟁사를 스토리텔링해 호국전시공원을 만든다. 남북 분단 관련 문학을 소개하는 곳도 생긴다.

산이포구는 한국전쟁 이전까지 한강을 이용해 서울로 가는 배가 드나들던 포구로 당시 경기와 서울의 물류 수송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던 곳이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철책선이 생기면서 서울로 가는 뱃길도 끊기고 모여 살던 사람들도 민통선 밖으로 빠져나갔다. 현재는 민통선을 오가며 산이포구 터에서 농사를 짓는 농민들이 있다.

1919년 3월 7일 강화 전역에서 이뤄진 만세운동과 함께 산이포구 사람들도 3·1운동에 동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산이포구는 1951년 1월 양민 학살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 2008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강화도 지역 민간인 희생사건’ 최종 결정서에 내용이 있다. 1951년 1·4 후퇴 당시 강화특공대가 민간인 수백 명을 학살했다는 내용이다. 반면 강화특공대 전우회는 진실화해위의 결정서가 왜곡·날조됐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강화특공대가 공식적으로 사람을 처단한 사례는 좌익세력의 우두머리였던 하점면장이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시와 군은 주변 지역에서 민통선 안보관광코스(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를 개발하고 있어 산이포구 마을과 연계할 방침이다. 과거 강화에서 가장 번성해 풍요로웠던 무역항으로서 산이포구의 그리움과 향수를 자극할 만한 콘텐츠를 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과거 해적이 출몰하던 곳이기도 하고 역사성이 깊어 다각도로 지역 발전을 위한 구체적 실행계획을 세울 것"이라며 "오는 8월 정부 투·융자심사를 받아야 하고, 산이포구 터가 개인 소유로 필지가 나뉘어져 있어 땅 사는 데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산이포구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