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영흥.jpg
▲ 영흥화력 발전소 전경. <기호일보 DB>
인천 영흥화력발전소를 바라보는 주민들의 한숨이 커지고 있다.

청정연료 발전시설을 설치할 움직임은 없고, 화력발전의 잔재인 석탄재 쌓이는 속도만 빠르다. 주민 감시 기능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시와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 등에 따르면 영흥도 외리에 89만㎡ 규모, 매립용량 658만㎥의 제3처리장을 설치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 등 행정절차를 준비 중이다. 제3처리장은 제1처리장(141만㎡)의 대용으로 계획됐다. 1호기부터 4호기까지 나오는 석탄재를 처리하는 1처리장은 오는 2026년까지 712만㎥의 양을 수용할 계획이었다.

처음 구상에 비해 3처리장 조성 시기가 앞당겨진 것은 석탄재 재활용률이 낮기 때문으로 지적된다. 영흥화력은 ‘영흥화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관련 환경협정’에 따라 2010년부터 석탄재 재활용률을 8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지난해까지 9년간 1∼4호기에서 발생한 석탄재 956만㎥ 중 재활용량은 613만㎥로 64%가량에 그쳤다. 나머지는 1처리장에 매립했다.

시민과 맺은 협정을 못 지킨 상황에서 추진하는 3처리장은 반발에 부딪칠 가능성이 크다. 7·8호기 증설과 함께 논의됐던 LNG기지도 무산된 터라 주민들의 불만은 더 크다.

옹진군 영흥면은 한국가스공사의 ‘제5천연가스(LNG)기지’ 후보지로 올랐다. 주민들은 4조 원대 생산유발효과가 있는데다 청정연료 발전 방식인 LNG기지가 들어오기를 바랐지만 충남 당진시에 고배를 마셨다.

제5LNG기지가 현재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는 등 순항 중인 것에 비해 영흥면에서는 어떠한 움직임도 없는 상태다.

주민들이 원하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주민 감시가 제대로 이뤄져야 할 필요성이 크다. 민관공동조사단은 발족 초기 25명에서 현재 34명까지 몸집을 키웠으나 매분기별 형식적인 보고 외에는 역할이 좁아진 상태다.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꾸린 협의체도 구성한 지 10년이 넘어가며 한계에 부딪쳤다. 제3처리장 추가 설치 소식 등이 알려지면서 일부 주민들은 협의체를 재정비하고 피해를 줄일 방안을 찾고 있다. 장기적인 상생을 위해서는 화력연료를 LNG 등 청정연료로 교체하고 환경피해를 최소화할 실질적인 대책을 찾겠다는 목표다.

영흥발전본부 관계자는 "1처리장과 2처리장의 용량이 남았지만 미리 대비하기 위해 3처리장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며 "LNG 발전은 국가전력수급계획과 같이 가야 하기 때문에 아직은 검토되고 있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영흥화력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