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재난 등 비상 상황시 사용하기 위한 경기남부지역의 음용수용 비상급수시설 36% 가량이 마시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낸 ‘경기남부 민방위 비상급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에는 작년 1월 기준 1천205곳(남부 1천49곳·북부 156곳)의 비상급수시설이 지정돼있다.

음용수 시설은 이 중 585곳이며, 나머지는 생활용수 시설이다.

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남부지역의 비상급수시설 중 음용수 시설에 대한 수질검사 자료(2015∼2017년)를 분석한 결과, 대장균 오염 등으로 음용수 부적합 판정이 된 시설 비율이 연평균 36.6%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지난 2015년 357개 시설 검사에서 34.2%, 2016년 43.4%, 2017년 362개 시설 검사에서 32.3%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적합 원인으로는 일반 세균과 총대장균군, 분원성 대장균 등 미생물학적 오염이 81.3%으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는 탁도나 불소 등 이온성 물질농도 등의 부적합으로 나타났다.

오염농지와 폐광산, 주유소, 각종 공장, 하수관거, 정화조 등 급수시설 주변에 방치된 오염원이 비상급수 시설의 주된 오염 원인으로 지목됐다.

보건환경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인근 오염된 물이 비상급수시설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정비하고, 비상급수시설 내부를 고압세척기 등을 이용해 주기적으로 청소·소독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 비상급수시설 지정 시 주유소나 축사 등 주변 시설로 인한 지하수 오염 우려 지역, 모래나 자갈층이 많아 수질오염 확산이 빠른 지역 등은 제외할 것을 제안했다.

남궁진 기자 why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