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자부하는 청년고용률이 지역 청년에게는 숫자에 불과하다. 구직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취업한 청년들도 열악한 근로환경에 얼마 못 버티고 사표를 던진다. 반복되는 취업전쟁의 탈출구는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지역에서 만들어 주는 것이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시 청년고용률은 47.9%로, 전국 평균 42.7%를 웃돌았다. 청년실업률도 2017년 4분기 대비 0.7% 낮은 7.9%로 집계됐다. 시는 중소 제조기업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취업을 지원하는 정책이 실효를 거뒀다고 내세웠다. 하지만 청년은 정책체감도가 낮다고 말한다.

청년들이 취업을 어려워하는 가장 큰 원인은 중소 제조업 중심의 지역 기업에서 비전을 보지 못 해서다. 청년들은 안정적으로 직장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데, 시의 정책은 단기적인 복지나 환경개선사업에 맞춰져 있다.

중소 제조기업에 근무하는 청년에게 120만 원의 복지비를 주는 ‘(1석5조)인천 청년사랑 프로젝트’는 단발성 지원에 불과하다. 지원 횟수가 단 한 번인데다 대상도 연간 800명 정도다. 이미 직장을 다니고 있는 근로자에게 잠깐의 복지는 될 수 있으나 신규 인력을 끌어들이기엔 역부족이다.

청년고용 우수기업 근로환경개선사업 또한 당장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지만 이후 처우가 보장되지 않으면 고용을 유지하기 어렵다. 지난해 실업급여를 받은 인천 청년 중 12%인 1만5천703명은 1년을 채 근무하지 못했다.

결국 경쟁력이 낮은 산업구조를 바꾸지 못하면 청년들의 선택지는 계속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 점에서 공공기관 청년고용을 확대하겠다는 박남춘 인천시장의 공약은 실질적인 대안이 아니다. 2022년까지 고용할당비율을 4.7%까지 끌어올린다 해도 청년 수는 135명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일자리와 직결되는 산업구조 고도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제조업이 다수인 현 구조에서 땜질식으로 지원금을 줘서는 안정적인 청년고용은 불가하다는 것이다. 성장 가능성이 낮은 업종의 경우 과감한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대신 문화예술이나 교육, 복지, 에너지, 환경 분야 등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와 기업의 채용 정보를 상시 공유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양준호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인천에는 지역 일자리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제조기업들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역 산업정책이 거의 없는 상태"라며 "지자체와 기업단체, 청년구직단체가 거버넌스를 구축해 청년인재와 지역 일자리를 연결시킬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