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장애인.jpg
▲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 박람회 부스에 전시된 생산품. /사진 = 기호일보 DB
인천지역 장애인들이 만든 생산품이 설 곳을 잃고 있다. 품질이나 디자인 등에서 상품을 개선하려고 하지만 조언을 받을 곳조차 거의 없는 상황이다.

3일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통계를 보면 인천지역 중증장애인 생산품을 만드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은 총 32곳이다. 근로사업장 4곳, 보호작업장 28곳이다. 이들 시설의 근로자는 대부분 중증장애인으로, 생산품 판매수익은 근로자 급여 지급에 쓰인다.

하지만 이들 시설의 수익 창출은 시간이 갈수록 저조하다. 최근 쏟아지는 ‘싸고 질 좋은’ 기성품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지역 내 관공서 등에서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제도를 따르고 있지만 법정비율(총 구매액의 1%)을 채우고 나면 추가 구매는 사실상 없다. 여기에 아직 자리잡지 못한 신생 시설은 1년에 3회뿐인 중증장애인 생산품 인증시기를 맞추지 못하면 다음 인증까지 수개월간 우선구매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들은 다른 시설처럼 근로자 급여 지급이나 장애인 직업훈련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 자립조차 어려워 문을 닫게 된다.

결국 최근 일부 시설은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생산품 디자인 개선 및 마케팅 방안을 찾아나섰다. 우선구매제도에 기대지 않고 시민들에 대한 매력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사회복지사가 생산품 판매 마케팅 등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만큼 주로 구청 등 기관의 도움을 받고자 했다.

문제는 이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거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확인 결과, 인천시나 구가 자체적으로 직업재활시설에 제공하는 디자인 및 홍보 컨설팅은 따로 없었다.

지역의 한 시설 관계자는 "직업훈련 교사 등 사회복지사들이 관련 지식이 없는 상황에서 시설이 스스로 성장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판매수익과 별개로 사회복지사 급여는 지원되다 보니 개선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다"며 "저조한 수익 창출은 시설의 목적인 장애인 직업훈련에 소홀해지는 악순환까지 만든다"고 토로했다.

A구청 관계자는 "보건복지부가 중증장애인 생산품 생산시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경영컨설팅이 있고, 여기에 선정된 시설에 대해 구가 컨설팅을 수행한다. 다만, 전국에서 희망하는 시설이 많다 보니 뽑히기가 쉽지 않다"며 "구에서는 아직 자체적으로 마련한 지원 프로그램이 없다"고 말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