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직업재활시설의 장애인들이 만든 생산품이 최근 쏟아지는 ‘싸고 질 좋은’ 기성품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져 설 곳을 잃고 있다는 보도다. 경쟁력에서 밀리다 보니 근로자 급여 지급이나 장애인 직업훈련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 자립조차 위태롭다고 한다. 더욱이 품질이나 디자인 등에서 상품을 개선하려고 하지만 조언을 받을 곳조차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이들 재활시설에 대한 경쟁력 강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인천지역 중증장애인 생산품을 만드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은 총 32곳으로, 이들 시설의 수익 창출은 시간이 갈수록 저조하다. 그동안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특별법이 제정된 이후 지속적인 실적 증가에 따라 생산시설 및 장애인근로자와 중증장애 근로자 수가 증가해 왔다. 하지만 국가 및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제도의 의무구매비율(총 구매액의 1%)의 문턱이 높은 데다, 법정비율을 채우고 나면 추가 구매는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 일부 시설은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생산품 품질이나 디자인 개선 및 마케팅 방안을 찾아 나서고 있으나 이마저도 여의치 않아 보인다. 우선구매제도에 기대지 않고 시민들에 대한 매력도를 높이겠다는 것이지만 문제는 이에 대한 상담 제공이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주로 구청 등 기관의 도움을 받고자 하나 인천시나 구가 자체적으로 직업재활시설에 제공하는 디자인 및 홍보 컨설팅은 따로 없다. 물론 보건복지부가 중증장애인 생산시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경영컨설팅이 있고, 여기에 선정된 시설에 대해 구가 컨설팅을 수행하지만 희망하는 시설이 많다 보니 선발조차 쉽지 않은 데다 지자체에서는 아직 자체적으로 마련한 지원 프로그램도 없는 실정이다.

 직업재활시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생산품의 품질 개선, 수요·공급 품목의 불균형, 생산과 판매 시설 간의 상호연계 부족 등 드러난 문제점에 대해 지역사회 내 전문인력의 재능기부 참여를 통한 자체적인 개선 노력이 급선무다. 아울러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제도의 구매비율 확대를 위한 지자체, 공공기관에 대한 홍보 강화와 일반 소비자도 장애인 생산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극 홍보할 필요가 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법과 제도 측면에서의 정부·지자체의 지원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