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오염원에 둘러싸인 인천시 일부 기초단체에는 최소한의 완충작용을 할 공원녹지도 부족하다. 중국발 미세먼지만 탓하지 말고 내부 오염원을 최소화하고 녹지를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5일 인천시 2030 공원녹지기본계획에 따르면 중구의 준공업지역과 동구의 현대제철·두산인프라코어 일대, 남동구의 산업단지 원도심, 부평구 원도심 등이 공원서비스 소외지역으로 분류돼 있다. 1인당 공원녹지 면적이 적은데다 공원조성계획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곳들이다.

 공원서비스 소외 대상인 공업지역과 원도심은 미세먼지 오염원이 모여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중구는 항만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원의 영향으로 초미세먼지가 높게 나타난다. 수도권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발령된 지난 닷새 동안 중구의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102㎍/㎥였으며 신흥동은 평균 120㎍/㎥까지 측정됐다. 2015년 기준으로 중구의 1인당 공원녹지 면적은 50.81㎡로 넓어 보이지만 이 중 대다수는 영종도에 해당한다. 원도심은 준공업지역이 60%이며 일반상업지역은 30%다. 일반주거지역은 10%에 불과하며 녹지도 부족하다.

550(3면표).jpg
 동구와 미추홀구는 1인당 공원녹지 면적이 법정 확보 면적인 6㎡에도 미치지 못했다. 동구의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108㎍/㎥로 높았지만 1인당 공원녹지 면적은 4.14㎡에 그쳤다. 비슷하게 109㎍/㎥로 측정된 미추홀구는 1인당 면적이 1.53㎡로 모든 기초단체 중 가장 열악했다.

 인천에서 가장 큰 산업단지가 있는 남동구도 초미세먼지가 103㎍/㎥까지 올랐다. 남동구의 1인당 공원면적은 13.65㎡지만 인천시에서 가장 큰 공원인 인천대공원(266만5천㎡)의 영향이 크다. 외부 영향을 적게 받아 상대적으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았던 서구(4.08㎡)와 계양구(1.79㎡)도 1인당 공원조성면적 부족지역으로 구분됐다.

 공원녹지 확보는 지자체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미세먼지 대응책으로 꼽힌다. 중국발 미세먼지 등 외부 영향은 자체 역량으로 해결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시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도심바람길 등 공원조성계획을 세운 상황에서 지역 특성을 고려한 안배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시설의 영향을 줄여야 한다는 주문도 크다. 인천은 산업시설과 발전시설이 주거지와 분리되지 않아 오염원 배출로 인한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다.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초미세먼지 배출원별 기여도는 발전소가 35%로 가장 컸고 비도로 이동오염원(선박·건설기계 등) 24%, 사업장 15%, 자동차 12% 순이었다. 이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화력발전을 친환경 에너지로 바꾸고 각 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

 임종한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인천은 산단과 주거지역이 섞여 있고 고속도로나 대형 발전시설, 항만까지 미세먼지에 여러 요인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각 오염원에 대한 관리는 물론 오염원과 이격 거리가 필요한 곳이나 원도심 지역에 녹지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