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7개 부처 장관을 교체하는 개각을 지난 8일 단행했다. 문 대통령 취임 후 가장 큰 폭의 개각으로 사실상 문재인 정부 2기 내각 진용이 완성된 셈이라 할 수 있다. 이번 개각의 특징은 능력과 전문성을 우선한 인사였다는 것이 대체적 평가다. 관료와 학계 출신의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수장들을 전진 배치해 정책 성과를 이끌어냄으로써 집권 중반기 국정운영 동력을 끌어올리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엿보인다.

 청와대는 이번 개각과 관련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는 게 중요하고, 이런 성과를 위해 능력이 검증된 인사를 발탁한다는 의미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청와대의 이런 설명에도 정치인 장관들의 총선 복귀로 이뤄진 개각의 한계 탓에 다소의 실망과 우려의 소리도 없지 않다. 당연히 정치권의 평가도 크게 엇갈린다. 청와대의 의도와 바람대로 성공한 개각으로 평가될 수 있을지는 오로지 성과로 증명해 보여야 할 것이다. 현재의 국내외적 상황을 감안하면 문재인 정부 집권 3년 차는 현 정부 전체의 성패뿐 아니라 국가 장래의 운명을 가를 만큼 중요한 시기이다. 그만큼 2기 내각의 책무가 막중한 것이다.

 현재의 안보 상황과 경제 상황은 총체적 난국에 직면했다고 할 만큼 그 어느 때보다도 엄중하고도 절박하다. 북핵 문제는 북미협상 결렬로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형국이고, 경제는 내수부진의 늪에서 좀체 헤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버팀목이었던 수출마저 빨간불이 켜져 우리 경제 전반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그야말로 총체적 위기이다. 청와대와 정부는 이번 개각을 정책전환의 계기로 삼아 분발해야 한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과 함께 강력한 적폐 청산을 기치로 내걸면서 공직 사회 전반에 변화를 몰고 왔지만 정책 수립과 집행에 있어 모든 것을 청와대가 챙기는 이른바 만기친람 식 국정운영을 해왔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내년은 총선을 앞두고 있다. 현 정권의 운명과 순항이 직결돼 있다는 점에서 당과 청와대가 조급해질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청와대의 눈치 보기에 급급해서는 장관과 부처가 소신 행정을 펼칠 수 없다. 정책 성과를 기대하는 것도 요원하다. 개각의 궁극적 목적은 인적 쇄신을 통한 국정 운영의 분위기 일신이다. 새 내각은 국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 성과로 답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