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신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를 통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고 한다. 작년 인천 내항 10개 부두운영사를 하나로 합친데 이어 인천신항 컨테이너부두까지 정부가 추가 통합 운영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내항 부두를 운영하던 10개 회사의 2013~2015년 누적 적자 192억 원을 이유로 1개 회사로 만들어 경영 효율을 꾀한다는 명분으로 통합을 강행했다. 하지만 작년 7월 출범한 인천 내항부두통합운영(주)은 올해 6월까지의 1년치 내항 시설 임대료(1·7·8부두 제외) 121억 원을 올해 1월 말까지 납부하지 못했다. 다행이 인천항만공사가 내항부두운영이 어려워 납부 시점을 총 11개월 연기해 준 상황이다. 초기 정착을 위해 대책을 마련했으나 추가 지원안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통합운영이 능사만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중고차 수출물량 이탈 논란 등 내항 화물이 인천을 떠나지 않도록 내항 물동량을 늘리기 위한 정부 차원의 추가 대책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 인천신항 컨테이너 부두 또한 통합에 따른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인천 신항 1-1단계 컨테이너 부두는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과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 등 2개 사가 각각 부두길이 800m, 3개 선석에서 하역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해수부는 이들 터미널 운영사를 하나로 합쳐 인천 신항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통합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야드 재정비 등 시설 개선자금을 지원하고, 1년간 임대료를 15% 할인해 줄 계획이다. 또한 해수부는 인천 신항 1-2단계 컨테이너 부두 개발사업을 신항만 기본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인천 신항 1-2단계 컨테이너 부두 개발사업은 현재 운영 중인 신항 1-1단계 컨테이너 부두 양옆에 5개 선석을 추가로 만드는 것이다. 이 또한 통합운영사에 맡길 방침이라고 한다. 여러 개의 터미널 운영사를 하나로 합쳐 대형화하면 운영비와 하역장비를 중복으로 투자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는 게 해수부의 생각이다. 물론 정부 주도로 통합한 법인인 만큼, 근본적으로 물동량 확보에 정부가 적극 나선다면 문제 될 게 없다. 하지만 주주사들이 각각 이해관계로 쉽게 응할지는 모르는 일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