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를 포함한 경기도 대기환경 관리를 위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 활용한 대기환경관리시스템 구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8일 경기연구원의 ‘4차 산업혁명과 경기도 미세먼지 관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경기도의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모두 연평균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한 51㎍/㎥, 27㎍/㎥으로 조사됐다.

특히 경기도 미세먼지 농도는 지난 2008년부터 꾸준히 개선 추세를 보였지만 2013년 이후 최근 몇 년간은 정체되고 양상이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2차 경기도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특별대책 시행계획’과 함께 ‘2차 경기도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을 추진 중이며 오는 2022년까지 2017년 초미세먼지 농도 대비 33% 저감(18㎍/㎥)을 목표로 총 1조7천671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그러나 보고서는 인구와 교통량이 밀집된 도심 내에는 다수의 생활오염원이 함께 분포하고 있어 측정망 관측자료보다 미세먼지 오염도가 훨씬 높은 고농도 구역(Hot-Spot)이 존재한다며 더욱 촘촘한 미세먼지 측정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일부 대형 사업장 및 발전소 등은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배출허용기준 준수여부를 감시하고 있지만 미부착 배출시설에 대한 관리는 여전히 부족하며, 중소규모 사업장은 조사체계의 부재 및 행정력 부족으로 인해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보고서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활용하면 미세먼지 배출시설에 대한 만성적인 관리인력 부족을 획기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며 도심 및 산업단지 지역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적용해 대기질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대기환경 관리에 활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인구밀집 및 고농도지역에 IoT를 활용한 공기질 측정 시스템 도입 ▶중소규모 사업장이 밀집된 지역의 배출시설에 각종 감지 센서 설치 ▶어린이집, 산후조리원 등 미세먼지 민감계층 이용시설에 실시간 실내공기질 측정 시스템 도입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경기도 대기환경정보시스템’ 구축 등이 제시됐다.

김동영 선임연구위원은 "정확하고 촘촘한 측정,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첨단기술을 활용하면 경기도형 대기환경관리 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