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서민경제 안정화와 자영업자 활력 강화, 원도심 상권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경기도형 전통시장 활성화 대책 마련에 나섰다. 18일 도에 따르면 총 450억 원가량을 투자해 상권진흥구역, 우수시장, 혁신시장, 공유마켓 등 4개 사업을 추진하며, 올해 16개소를 포함해 민선 7기 4년간 총 64개소를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다. 전통시장은 오래되고 낡아 개수·보수 또는 정비가 필요하고, 유통기능이 취약해 경영 개선 노력 및 상거래 현대화 촉진이 필요하다. 이에 경기도가 침체된 상권 활성화를 위해 발벗고 나선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문제는 전통시장을 찾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다. 그동안 정부는 전통시장의 위기 원인을 낙후된 시설, 주차장 부족에 따른 접근성 부족 등이 시장 방문을 꺼리게 만든다고 판단하고. 시설 개선과 주차장 확보를 위해 노력한 결과, 상당수 전통시장이 현대화 사업을 통해 물리적으로는 많이 개선됐다. 그렇다면 경쟁력이 살아나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가 못하다. 물리적 환경을 아무리 개선하더라도 상인들이 기존의 영업 방식을 고수하거나 요즈음의 소비행태에 맞도록 시스템이 개선되지 않으면 결과적으로는 다를 바가 없다. 판매대는 지저분해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가 하면 정찰제가 제대로 자리잡지 않은 경우도 많다. 신용카드 단말기가 설치 못한 곳도 상당수다. 설사 원하는 물건이 시장 안에서 저렴하게 판매한다고 해도 선뜻 들어서기가 망설여지는 이유다.

 전통시장의 위기는 그것을 움직이는 상인들이 현대의 트렌드에 맞추지 못하고, 과거 방식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전통시장이 위기에서 탈출하려면 자금 투입에만 기댈 것이 아니라 대형업체의 규모와 자본에 밀릴 수밖에 없는 상인들 스스로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십여 년 전까지 동네 시장은 가장 가깝고 편한 소비처였다. 생활 패턴이 변하고 시장 환경이 변화하면서 경쟁자가 등장했지만, 전통시장은 변화를 추구하기보다는 안주하며 경쟁자를 비판하는 데 급급했던게 사실이다. 이제라도 전통시장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변화를 위한 상인들의 주체적인 노력과 행정의 집중적인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다행히 관민의 공감대가 형성된 데다 도의 지원이 예정된 만큼, 새로운 흐름에 부응할 수 있게 상인들이 함께 주축이 돼 변화시켜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