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58)씨는 컴퓨터가 익숙지 않아 일자리 정보를 얻는 데 고충이 이만저만 아니다. 중장년희망일자리센터에서 취업 알선 상담을 받으려면 인터넷 신청을 해야 한다. 직접 방문해 접수하려 해도 하나뿐인 상담기관이 집에서 멀어 엄두가 나지 않는다. A씨의 구직활동 창구는 관공서 구인정보가 아니면 채용행사장이다.

# 교사 경력의 B(57)씨는 퇴직 후 수시로 이용하는 구직사이트만 5개가 넘는다. 한눈에 정리된 곳이 없어 교육청 사이트는 물론 각 지자체의 공고를 일일이 살핀다. 교사 경력을 활용하고 싶지만 딱히 안내받을 수 있는 곳이 없다. B씨는 지인 소개로 경력과 무관한 보험영업회사에 출근키로 했다.

19-600.jpg
▲ 노인일자리 채용한마당에서 한 어르신이 채용게시판을 보고 있다. /기호일보 DB
‘일자리 정보를 얻을 곳이 없다.’ 신중년의 호소다. 인천시는 최근 신중년 일자리 창출사업을 시작한다.

하지만 그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통합시스템이 미비하다. 담당 기관이나 해당 부서에 일일이 묻는 불편이 따른다. 고용노동부도 신중년 일자리 늘리기 정책을 편다.

그러나 인천에는 이를 따를 기관이 타 시도에 비해 부족하다. 중장년 대상 사회공헌활동 지원 운영 업체는 1개뿐이다. 이 업체의 상담사무실은 부평구와 계양구 두 곳이다. 생애 설계와 고용 지원 서비스를 하는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도 1곳뿐이다.

다른 취업 소외계층에 비해 홀대받는 느낌이다. 지역 내 노인 일자리 전담기관은 각 지자체 노인복지관 등 총 19곳이다. 여성 일자리 전담기관은 인천여성재단의 새일센터를 비롯해 모두 7군데다. 중장년을 위한 센터는 없다. 이들은 5개 남짓한 상담기관을 찾아 헤맬 수밖에 없다.

양질의 일자리 또한 부족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인천시 임금근로자 124만3천 명 중 5060세대는 총 30만6천321명이다. 이 중 제조업 근로자가 27%인 8만3천912명으로 가장 많다. 건설·채굴직은 14%인 4만5천268명, 시설 경비·관리직이 10%인 3만764명이다. 신중년 절반 이상이 단순 육체노동자다.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시가 나섰지만 이 역시 한정적이다.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사업은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의 퇴직자 100명을 비영리기관 등에 배치해 컨설팅 등 업무 지원을 맡긴다. 정년퇴직자 고용 연장사업은 200명을 재고용하도록 기업을 지원한다. 이 사업들은 경력을 갖춘 전문인력 말고 일반 중년 구직자들은 참여할 수 없다. 신중년 일자리사업을 모두 합해도 일자리는 340개에 그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아직 사업 초기 단계라 다양한 기반이 마련되지 않았다"며 "앞으로 중년 일자리정책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김유리 인턴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구직정보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