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와 남양주시 농업정책과가 오는 5월 말을 목표로 통합 추진에 나선 가운데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이는 농업면적 축소에 따른 농업인 감소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단순 농업에서 탈피해 농촌 융·복합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초석이라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2010년과 2017년을 비교하면 농업인구는 18.3%가 줄었고 논 47%, 밭 20% 등 농지도 대폭 감소했다. 여기에 3기 신도시 개발사업에 포함되는 경지면적 600㏊를 제외하면 총 경지면적은 2천100㏊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시청인 농정과와 외청인 농기센터가 유사·중복된 업무를 각각 수행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핵심적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농업 발전’이라는 근본적 목표에서 벗어나 융·복합산업, 농업경영, 도시농업, 귀농·귀촌 지원, 농기계 관련 업무 등을 양측에서 제각기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팀장(6급) 이상 관리직이 직렬별(농업직·지도직)로 45%, 43%에 달해 실질적으로 일할 수 있는 직원의 비중이 적은 불균형적 조직 구조도 문제점으로 거론됐다.

이에 따라 시는 기구 개편을 통해 15개 팀 71명의 구조를 14개 팀 67명으로 축소하고 양측의 업무를 적절히 조율키로 했다. 다만, 쟁점이 됐던 농업상담소 조정은 현재 8개소 상설 운영 체제에서 4개소로 부분 축소하고 탄력적으로 운영키로 했다.

지역사회는 통합에 대해 비교적 납득하는 분위기이나 과도기에 따른 우려감도 동시에 표출하고 있다. 양측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던 점을 근거로 서로 융합되는 시간이 필요하고, 이 기간 동안 농업인을 위한 혁신적 정책 개발이 뒷전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농기센터의 경우 농업 최일선에서 지도사업을 펼쳐 농업인들의 신뢰를 받아온 만큼 통합이 자칫 ‘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한 농민단체 관계자는 "농기센터가 발품을 팔아 사업을 했다. 예산만으론 할 수 없는 노력을 많이 했다"며 "농기센터의 전문성을 헤치는 꼴이 되지 않을까 걱정된다. 특히 농정과와 업무를 섞는 데서 오는 부작용을 해결하려면 몇 년 걸릴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중복된 업무에서 오는 비효율성을 개선해 농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직으로 변모토록 하는 첫걸음이다"라며 "과도기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만큼 시민들의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남양주=조한재 기자 chj@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