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대책에 맞춰 경기도의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경기연구원은 31일 ‘경기도 수소경제 미래를 생각하다’ 보고서를 통해 수소경제의 현재와 미래 전망을 살펴보고, 주요 국가들의 수소경제 전략과 수소경제를 둘러싼 쟁점을 분석해 경기도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오는 2050년이 되면 수소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2천800조 원의 부가가치와 3천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전체 에너지수요의 18%를 수소에너지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도 70조 원의 부가가치와 60만 개의 신규일자리가 창출되며 수소전기차의 연간 매출액은 2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 양산에 성공하며 핵심부품의 99%를 국산화하는 등 수소차 부문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 발전용 연료전지 부문에서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며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반면 수소차와 수소충전소의 보급이 더디며, 친환경 수소생산 기술인 수전해방식의 핵심원천기술이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올해 초 ‘세계 최고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내걸고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에 경기도는 정부의 로드맵에 적극 대응해 2022년까지 수소차 3천 대, 수소충전소 27기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경기도의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구축 계획은 구체적인 지원정책이 미흡한 상황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경기도의 수소차 보급은 7대에 불과하며 수소충전소는 연구용만 3곳에 있을 뿐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충전소는 전혀 없다.

또 서울, 부산, 충남 등 다른 광역시도에서는 국비 외의 수소차 구매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나 경기도의 도비 지원금은 없는 실정이다.

김군수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는 그동안 수소경제 실현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왔다.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보급을 지원하기 위해 경기도비 보조금을 신설,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수소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형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