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부모협동조합 형태 등 인천형 공동보육 모델로 보육사업의 공공성을 높인다.

시는 보육특별시 인천 공약을 실천하기 위해 내부추진단을 꾸리고 어린이집 실태조사를 진행하겠다고 11일 밝혔다. 인천여성가족재단에 초기 연구비용 3천만 원을 배정하고 올해 하반기 연구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저출산과 물가·최저임금 상승의 영향으로 많은 민간어린이집이 경영난을 겪고있다.

지역내 민간어린이집은 2015년 814개, 2016년 808개, 2017년 800개, 2018년 779개, 2019년 2월 776개로 꾸준히 감소 중이다. 2017년 기준 민간어린이집의 이용률은 8만895명으로 정원(9만3천930명)의 86%에 그쳐 경영난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민간어린이집의 영세화는 교사들의 경력단절과 보육의 서비스 저하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내부에서 나왔다.

시는 민간어린이집이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고 보완책으로 공동보육의 모델을 모색한다. 어린이집의 부모 참여 확대를 보육정책의 기본방향으로 세운다는 입장이다.

그 예로 보호자 15명 이상이 조합을 결성해 설치·운영하는 부모협동어린이집 활성화를 언급했다.

하지만 부모협동어린이집 현장에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 많은 부모와 교사, 지역주민들이 참여하기 위해서는 공적지원을 통해 좀더 안정적인 운영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협동조합의 어린이집의 운영과 지원기준은 민간 어린이집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설립비용은 물론 운영비 등 모든 재원은 전적으로 조합원들에게 의존해야 한다. 실제 지역내 부모협동어린이집은 총 5개 뿐으로 지난해 경영난 등의 이유로 1곳이 폐원했다. 시간이 없어 어린이집 경영에 일일이 참여하기 힘든 맞벌이 학부모의 문제도 걸린다.

지역내 한 부모협동조합 어린이집 관계자는 "민간어린이집의 대안으로 시작된 기관이지만 받을 수 있는 지원은 별다를 게 없다 보니 추가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며 "교사들의 처우를 개선하고 만족스러운 보육의 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한 사람 당 월 35만 원 씩 조합비를 걷어야만 유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지역내 대다수의 아이들이 다니고 있는 민간어린이집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많아 대안 마련을 위해 추진하게 됐다"며 "종사자와 학부모 등 현장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김유리 인턴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