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1일 워싱턴 한미정상회담(현지시간) 후 대북특사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왼쪽부터),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관측되고 있는 가운데 이낙연 국무총리도 거론되고 있다.  /연합뉴스
▲ 지난 11일 워싱턴 한미정상회담(현지시간) 후 대북특사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왼쪽부터),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관측되고 있는 가운데 이낙연 국무총리도 거론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정상회담을 마치고 돌아온 문재인 대통령은 주말인 14일 중앙아시아 3개국 방문을 위한 준비에 주력하면서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동력을 살리기 위한 ‘포스트 하노이’ 구상에 골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 등 1박 3일 일정의 미국 워싱턴 DC 공식 실무방문 일정을 마치고 지난 12일 밤늦게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한미 정상은 회담에서 ‘하노이 담판’ 결렬 후 저하된 북미 간 비핵화 대화의 동력을 살릴 방안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 제3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는 등 비핵화 대화의 재개에 필요한 모멘텀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에게 남북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한의 입장을 가능한 조속히 파악해 알려 달라고 요청했고, 이에 문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의 조기 개최를 추진하겠다고 답하면서 문 대통령에게 주어진 중재역의 비중이 더욱 커진 상황이다.

이러 흐름 속에 문 대통령은 남북 접촉의 형식과 방법을 놓고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북미대화의 ‘촉진자’ 역할에 나선 문 대통령으로서는 이제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토대로 김 위원장으로 하여금 다시 트럼프 대통령과 핵 협상장에 마주 앉게 할 방안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고려하는 첫 번째 카드로는 대북특사 파견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대북특사 파견 외에도 지난해부터 남북미 대화의 견인차 구실을 한 것으로 알려진 ‘국가정보원-노동당 통일전선부’ 라인 등이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과 국면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대북특사 파견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한미정상회담 결과와 김 위원장의 시정연설 메시지를 놓고 13일 대북특사 파견 계획 등을 포함해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특사로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두 사람은 지난해 3월과 9월에 각각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과 특사로 북한을 다녀온 바 있다.

북한과 이뤄지는 대화의 연속성 등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동일한 멤버가 문 대통령 메시지를 들고 북한을 향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특사 파견 시기에 대해서도 관심사다. 비핵화 해법에 관한 김정은 위원장의 의중을 확인하고 싶어 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입장을 ‘가능한 한 조속히 알려달라’고 한 만큼 비교적 이른 시기에 특사를 보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는 16∼23일 문 대통령이 투르크메니스탄을 비롯해 중앙아시아 3개국을 방문하는 기간에도 정 실장 등이 평양을 방문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특사 파견을 통해 한미정상회담에서 확인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을 전하는 한편, 북한을 재차 비핵화 대화 테이블로 나오라고 설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우리 정부를 향해서도 불만을 내비쳤던 김 위원장을 대화 테이블로 이끌려면 북한이 수용할 만한 ‘안’을 내놓는 게 필요한 상황이다.

청와대는 그 방안으로 ‘포괄적 합의와 단계적 이행’ 원칙에 입각한 영변 핵시설 폐기나 풍계리 핵실험장 검증 등 연속적인 ‘굿 이너프 딜’(충분히 괜찮은 딜) 등을 제시하며 대화 참여를 설득할 것으로 관측된다.

강봉석 기자 kbs@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