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0.jpg
▲ 지난 2017년 12월 3일 오후 인천시 옹진군 영흥도 해상의 낚싯배 전복사고 현장에서 인양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 = 기호일보 DB
302명의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의 가장 큰 교훈은 ‘안전불감증’이다. 사고 이후 온 나라가 ‘안전불감증’을 지적하며 사회안전망 확충을 강조했지만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외침은 멀기만 하다.

2017년 12월 3일 발생한 영흥도 낚싯배 사고가 대표적인 예다. 22명이 빼곡하게 들어선 낚시어선 ‘선창1호(9.77t급)’는 영흥대교 인근에서 급유선인 ‘명진1호(366t급)’와 충돌했고, 15명이 목숨을 잃었다. 당시 급유선 선장과 갑판원은 매뉴얼을 지키지 않았고, 해경은 계류장에서 구조보트를 출발시키는 시간만 13분이 걸렸다.

9명이 숨지고 5명이 다친 인천시 남동구 세일전자 화재도 안전불감증에 의한 인재(人災)였다. 업체는 화재 전부터 사무실에서 발생한 누수와 결로현상을 방치했고, 비상벨이 울리면 경보기를 끄라고 지시했다. 사고 2개월 전 민간 소방관리업체에 맡긴 정밀점검도 형식적으로 이뤄졌다.

인천지역의 안전불감증 문제는 현재 진행형이자 미래형이기도 하다.

동구의 삼두아파트 주민들은 ‘인천~김포 고속도로 건설공사’로 인해 2015년 말부터 건물 붕괴 위험을 겪고 있다고 호소한다. 고속도로 지하터널 발파 공사가 처음 시작된 이후부터 아파트와 인근 교회에서 건물 균열과 지반침하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고 부르짖지만 아직도 이들의 목소리는 허공에 머물러 있다.

삶의 터전에 금이 간 곳은 부평구 청천동 쌍용아파트도 마찬가지다. 이곳은 서울도시철도 7호선 석남연장선 공사구간과 불과 30m 떨어져 있다. 주민들은 지하철 공사 과정에서 진행된 터파기로 지하에 공동이 생겨 아파트 곳곳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 아파트와 공사장 사이 도로 인근에서는 수차례 땅 꺼짐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한국지하안전협회 인천경기지부장을 맡고 있는 신은철 인천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지하철 터파기 공사구간으로 지하에 있던 물이 빠져나가면 물과 함께 흙이 휩쓸려 지하 공동이 생기게 된다"며 "특히 장마가 시작되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반면 인천도시철도본부는 쌍용아파트 균열과 지하철 공사와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고, 다만 도로 땅 꺼짐은 지하수 때문에 발생한 것이기에 보강공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인천지하철 1호선의 노후화는 우리가 대비해야 할 문제 중 하나다.

인천지하철 1호선에는 총 272량의 전동차가 운행 중이다. 이 중 200대가 개통 당시인 1999년 제작된 객차다. 차량 도입 당시만 해도 철도 내부 수명은 25년이었지만 중간에 법이 개정되면서 제작 이후 20년이 지나면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수명을 다시 판단하도록 돼 있다. 인천교통공사는 내년부터 진단을 통해 노후 전동차를 선별할 계획이다. 하지만 문제가 발견돼도 1대(8량)당 110억 원에 달하는 전동차를 새로 구매하기는 재정적으로 쉽지 않은 상태다.

이광호 평화와참여로가는인천연대 사무처장은 "세월호 참사 이후 사회적 안전문제가 최대 화두로 떠올랐지만 지금 우리가 경각심을 갖고 대처하고 있는지는 생각해 봐야 할 문제"라며 "인천에서 벌어지는 여러 문제들을 보면 아직도 충분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이병기 기자 rove0524@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안전불감증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