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00.jpg
▲ 안산 공공자전거 페달로. /사진 = 안산시 제공
경기도내 일부 지자체가 공공자전거를 운영하며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지만, 몇몇 시민들의 자전거 파손으로 인해 운영에 부담을 겪고 있다.

22일 경기도와 일선 시·군 등에 따르면 도내에서 공공자전거를 시행 중인 지자체는 수원·고양·안산·부천·시흥·과천 등 6곳으로, 지자체 및 위탁업체가 대여·반납체계를 갖춰 운영하고 있다.

공공자전거는 각 지자체마다 하루 동안 대여 시 최소 무료부터 최대 1천 원, 1년 회원권을 끊을 경우 최소 3만 원에서 최대 6만 원으로 상당히 저렴한 가격에 대여할 수 있다.

하지만 공공자전거 운영이 수익사업이 아닌 만큼 자전거 수리비용이 공공자전거를 운영하는 지자체나 위탁업체의 부담이 되고 있다.

고양시는 2009년 민간업체인 ‘에코바이크’를 통해 1천400대로 공공자전거 ‘피프틴’ 운영을 시작했다. 이후 추가 구매를 통해 현재는 2천300대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3년간 자전거 수리 건수는 4만6천988건에 달한다. 자전거 1대당 1년에 6∼7번의 수리를 한 셈이다. 이를 위한 수리비용 역시 2억1천여만 원에 이른다. 더욱이 내년 5월 에코바이크와의 계약이 종료되면 이후부터 고양시에서 수리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2015년 1월부터 공공자전거 사업을 시작한 시흥시도 상황은 비슷했다. 시흥시는 하루 3시간 무료로 공공자전거를 대여해 주고 있지만, 지난해 공공자전거 350대에 대한 수리 건수는 4천72건에 달했다. 다음 달부터 위탁에서 직영으로 운영 방식을 전환하면서 매년 공공자전거 수리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전국 최초로 민간 공유자전거를 도입한 수원시 역시 일부 시민들이 함부로 타면서 파손한 자전거가 신고될 때마다 운영업체에 연락해 수거하고 있다.

안산시도 안산도시공사를 통해 2013년부터 공공자전거 ‘페달로’를 운영하고 있지만 최근 3년간 수리 건수가 2016년 9천184건, 2017년 8천979건, 2018년 8천847건 등 2만7천여 건에 달한다. 수리비용으로 이 기간 1억2천여만 원을 썼다. 안산시는 2013년과 2015년 2번에 걸쳐 2천155대의 공공자전거를 구매했지만 2017년 400대, 지난해 202대의 자전거를 폐기했다. 대부분의 폐기 사유는 노후화였지만 자전거의 핵심인 ‘프레임’ 고장도 일부 발견됐다.

안산시 관계자는 "시민들을 위해 공공자전거 수리비용을 부담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최대한 자기 물건을 쓰듯이 공공자전거를 이용하면 수리비용을 상당히 아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현 기자 qw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공공자전거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