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인재 육성의 중심이 돼야 할 인천인재육성재단이 이원화된 조직구조로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침체된 장학사업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시민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 구축과 조직 강화가 시급하다.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인재육성재단(이하 재단)은 장학사무국과 인천평생교육진흥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1985년 설립된 인천장학회가 2013년 재단으로 개편되면서 두 기관이 한 지붕에 들어가게 됐다.

재단의 총 책임자는 이사장을 맡고 있는 인천시장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운영이나 실무적인 측면을 보면 양측은 다른 기관처럼 움직인다. 운영을 맡을 총괄 역할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장학사무국은 사무국장이 평생진흥원은 원장이 맡아 따로 사업을 추진한다. 양 측이 시너지를 내는 것이 통합의 목표였으나 이원화로 인해 오히려 각 사업이 힘을 못 받는 실정이다. 특히 장학사무국은 대외활동이 약화되면서 장학사업을 위한 기부 금액이 크게 줄고 있다.

재단의 지난해 기부내역은 총 21건으로 3억4천900만 원이다. 이는 최근 5년 사이에 가장 적은 액수다.

인천의 장학기금 규모는 352억 원으로 전국 12개 장학재단 중 4번째로 크지만 지급액은 11억8천만 원으로 다소 적게 지급되고 있어 장학사업 확대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인천연구원의 인재육성재단 발전방향(장학분야 중심) 연구에서는 ▶재단 및 장학사업의 인지도 부족 ▶제한적인 장학금 지원사업 ▶장학생 관리·선발시스템 부재 ▶재정 운영의 불안정성 등을 문제로 꼽았다.

조직강화 방안은 단기적으로 외부 상임이사를 두는 방법이 유력하게 제시되고 있다. 지난달 재단이 주최한 인천형 인재육성을 위한 장학사업 발전 방안 토론회에서 민간 상임이사를 도입하자는 얘기가 나왔다.

인천과 같이 장학사업국과 평생교육진행원을 통합운영하는 제주도가 민간 상임이사를 두고 있다. 장학재단을 독립운영하는 서울이나 전북의 경우 재단 이사장을 민간에서 맡기도 한다. 재단 운영이 일원화되면 시민들의 기부 참여를 확대하고 중복 사업을 막기 위한 민간 장학재단과의 거버넌스 구축 등도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시의회와 토론회에서 조직 문제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서 검토하고 있다"며 "내년부터라도 장학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찾겠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