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중구 하버파크호텔에서 ‘인천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 활성화’ 포럼이 열려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 14일 중구 하버파크호텔에서 ‘인천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 활성화’ 포럼이 열려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는 모든 공장이 생산성이 높아지고 원가가 줄며 고용창출이 된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10개 기업이 시스템 자동화를 도입해 10개 기업에서 성과를 보려면 기업 대표가 굉장한 고민을 해야 한다."

14일 중구 하버파크 호텔에서 ‘인천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 활성화’라는 주제로 열린 포럼에서 송성수 삼성전자 스마트공장구축센터 부장이 한 말이다.

중소기업중앙회 인천지역본부가 마련한 이번 행사에서 송 부장은 스마트공장 성공을 위한 3대 조건을 제시했다.

그는 ▶스마트공장 성공의 80∼90%를 좌우하는 대표의 추진 의지 ▶해당 공장에 필요한 하드·소프트웨어의 정확한 진단 및 계획 ▶전문 조력자의 컨설팅 등을 필수조건으로 꼽았다.

송 부장은 "스마트공장에 대한 개념은 근로자의 손을 덜 타고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자동화된 기계가 돌아가는 것을 한 눈으로 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으로 대표들이 이해하면 된다"고 했다.

공재향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 제품성능기술과장은 "인천 제조업체 1만여 개 사 중 약 10%인 1천830개 사에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는 게 목표"라며 "하지만 기계·도금 등 뿌리산업이 광범위하게 자리잡고 있는 인천에서 스마트공장 도입에 애로사항이 많다"고 했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약 470개 지역 기업이 정부 지원을 받아 정보화구축사업(ERP) 등을 벌였지만 이 중 뿌리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은 20여 개 사에 불과하다는 게 공 과장의 설명이다.

그는 "뿌리업종 대표가 스마트공장을 모르는 게 아니고 제대로 된 컨설팅을 받지 못해서 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공공기관 지원예산이 3천억 원 규모여서 비용지원은 신청만 하면 누구나 가능한 상황인데 기획과 설계, 사후관리에 대한 교육과 매칭 상담이 부족하다"고 했다.

스마트공장 도입에 대한 지역 기업들의 우려도 컸다.

부평에서 제조공장을 하는 한 대표는 "스마트화로 협력사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이 이뤄지고 수익 창출이 커지면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납품단가를 후려치려고 할텐데 이를 제도적으로 막을 방안을 없다"고 꼬집었다.

김치절임식품공업협동조합의 한 관계자는 "스마트공장이 공산품 제조공장 위주로 기획돼 있어서 식품 자동화 공정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계업체를 찾기도 어렵고 신청계획서를 만드는데 지원비의 90%를 소진하고 기간도 2개월 이상 걸렸다"며 "자부담 비율을 줄이고 식가공 공장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