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0.jpg
▲ 60ha에 이르는 홍콩습지공원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담수 및 기수습지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물새류 서식지를 제공해 방문자가 매년 40만 명에 이른다.<사진=인천경제자유구역청>
10년 동안 인천 송도갯벌과 남동유수지는 저어새의 보금자리였다. 하지만 저어새의 먹이 창고인 송도갯벌은 신도시로 매립돼 점차 사라지고 있다. 환경단체와 인천시,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은 송도갯벌에 습지생태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뚜렷한 절충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20일 시와 경제청에 따르면 2006년 마지막 남은 갯벌 송도 11공구(1천245만㎡)도 매립되기 시작했다. 당시 환경단체는 저어새 등 습지보호구역을 보전해야 한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인천시는 송도갯벌 6.11㎢를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해 보전하는 방안을 내놨고, 2009년 매립지 내 일부분에 야생조류 대체서식지를 조성하는 조건을 달았다. 하지만 조류 대체서식지 조성사업은 10년간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2016년 경제청은 조류 대체서식지 조성계획 등을 최종 변경하면서 송도 11공구에서 350m가량 떨어진 인근 해안에 버드 아일랜드 건설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역시 섬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갯벌 훼손이 불가피하다는 전문가의 지적에 따라 지난해 무산됐다.

경제청은 지난해 7월 송도 11공구에 조성 예정인 완충녹지 4.5㎞ 구간에 폭 30∼110m 규모의 습지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수립한다. 이에 동아시아-대양주철새이동경로파트너십(EAAFP)은 송도 조류 대체서식지 및 습지센터 조성 국제 워크숍에서 이를 150∼200m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녹지 면적이 협소해 안정적인 서식지를 제공하기 힘들고, 폭이 좁아 새들의 휴식이 시민들의 친수활동과 상충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경제청은 송도 11공구 개발계획이 이미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지 확보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대신 송도 11-2공구의 녹지 면적 일부를 줄여 습지공원 면적에 보태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연구단지용지로 검토 중인 지역과 단독주택 부지를 녹지로 변경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EAAFP는 최근 시에서 남동산단 해안도로 3.2㎞의 철책을 제거하고 인근 해안친수공간에 조형물과 쉼터, 철새관찰대 등을 설치하는 방안을 우려하고 있다. 시민들의 탐조활동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는 비간섭거리를 확보해야 한다는 논리다.

한편, 60㏊에 이르는 홍콩습지공원은 방문자가 매년 40만 명에 달하고, 일본 효고현에는 황새 복원을 통해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생태 보호와 농촌 재생을 꾀하는 황새마을이 있다.

김유리 인턴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저어새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