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전영택 인천연료전지 대표가 지난 4월 1일 인천시 남동구 YWCA에서 기자회견을 가지고 "동구 주민들과 대화가 안 될 경우 연료전지발전소 건립 공사를 재개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사진 = 기호일보 DB
인천시가 LNG·석탄발전을 대체할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품에 안기까지 그 여정이 험난하다.

동구 송림동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계획은 주민들의 반대로 제자리에서 맴돌고 있다. 수소를 축으로 하는 정부와 시의 에너지정책 행보와 엇나가는 모양새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미래 주요 에너지원으로 수소를 명시했다. 또 석탄발전소와 원전 감축을 최대 과제로 설정하고, 2040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현재의 4배 수준인 30∼35%로 대폭 향상시키겠다고 밝혔다. 2013년 2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 원전 추가 건설을 주요 과제로 내걸었던 점을 생각하면 정책 방향이 완전히 바뀌었다.

시는 지난해 11월 신재생에너지 보급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2035년까지 전력수요량 대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5%까지 늘리겠다고 했다. 하지만 시는 세부계획 수립과 추진에 적극 나서지 못하는 형국이다.

2017년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지역 에너지 통계연보를 보면 2016년 인천은 화석연료에너지 생산 비중이 높고, 신재생에너지 생산 비중은 낮다. 인천지역 에너지 공급량은 석탄 38.7%, 석유제품 37.1%, LNG 22.2%, 신재생에너지 2.0%(전국 평균 3.4%) 순이다. 게다가 2.0%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원은 바이오(56.3%)와 폐기물(30.6%)에 쏠려 있다. 바이오 에너지의 주재료인 나무 팰릿은 열량이 들쭉날쭉해 발전사업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으면서 점차 사양길로 접어들고 있다. 폐기물 고형화 연료 역시 마찬가지다.

대기 질 저하의 주범인 화석연료에 비해 효율이 높고 온실가스 발생이 적은 수소연료전지는 재생에너지 생산량의 5.1%에 불과하다. 시가 정부 에너지정책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수소 등 친환경적인 다른 에너지원의 보급이 필요하다.

발전사업자 역시 RPS(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를 2030년까지 28%로 맞추지 않으면 막대한 과징금을 내야 한다. 한국전력은 올해 신재생에너지 인증서 구입에만 2조 원을 발전자회사를 대신해 지출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은 보완재로 가치가 충분하다. 인천 소재 광역발전시설은 석유·가스 등 기존 원료에서 추출된 수소를 연료전지시설의 발전 원료로 쓸 수 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 가동이 상대적으로 쉽다. 인천에는 영흥(발전용량 5천80㎿)·서인천(1천800㎿)·신인천(1천800㎿)·인천발전본부(1천460㎿), 포스코에너지(3천412㎿) 등 광역발전시설이 운영 중이다.

시 관계자는 "미래 에너지정책의 목표 도달을 위해 더 이상 늦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알고 있다"며 "세부계획 용역 결과가 나오는 오는 11월까지 정부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올해 내 세부계획을 수립해 단계를 밟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stone@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