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가 미래 전략산업인 수소 생산기지의 유력 후보지로 인천을 주목하고 있다. 지역 여론의 향배에 따라 다른 지역에 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할 움직임도 감지된다. 주민 반발로 충남 당진 석문지구에 밀린 제5 LNG생산기지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1-400.jpg
▲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 /사진 = 연합뉴스
23일 가스공사 등에 따르면 정부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에 따라 2030년까지 4조7천억 원을 투입해 수소 생산시설 25개와 주요 거점도시에 배관을 설치한다. 이는 지난달 28일 가스공사가 발표한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에 따라 추진된다. 정부가 수소경제의 밑그림을 그리고 가스공사가 시행자로 나서는 형태다.

가스공사는 수소경제 성패가 초기 시장 형성에 달려 있다고 판단, 시장 활성화 장애요소들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수소 생산기지 등 설비 대형화와 운영 효율화로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제조원가를 낮추겠다는 계산이다. 2030년 목표 공급가격은 수소 1㎏당 4천500원이다. 현재 수소가격(충전소 기준)은 1㎏당 5천500~8천200원으로 지역별로 차이가 난다.

인천은 LNG 공급망을 갖춘 광역발전시설뿐만 아니라 대형 LNG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수소 생산기지로 적합하다. 수소는 LNG나 석유 정제 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생수소의 질을 향상시켜 얻는다. 가스공사는 보유 중인 전국 4천854㎞ 천연가스 배관망과 공급관리소 403개소를 활용한다. 인천에는 영흥·서인천·신인천·인천발전본부 등 4개 발전 자회사가 있다. 또 가스공사는 송도에서 138만㎡ 터에 총 288만kL 규모의 저장탱크를 갖춘 LNG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1시간당 150t 생산이 가능한 저압펌프 51기와 1시간당 110t 생산 가능한 고압펌프 58기도 갖췄다.

인천은 가스공사가 계획하고 있는 2030년 공급배관 설치 완료 시점까지 물류 인프라를 통한 수소 수송에도 장점을 갖고 있다. 선박 이용이 가능한 항만과 수도권 접근이 용이한 교통망으로 생산된 수소를 수요지역에 공급할 수 있다.

정부가 수소를 미래 주요 에너지원으로 명시했고, 인천시는 2035년 전력 수요량의 25%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수소 생산기지를 유치해 지역 에너지 정책과 접목한다면 연료전지 등 친환경 발전으로의 활용도가 높다.

문제는 주민 수용성 확보다. 가스공사는 인천의 장점에 주목하면서도 동구 송림동 발전소 건립 반대 여론을 주시하고 있다. 가스공사의 제5 LNG생산기지(200만kL) 경우 후보지로 인천이 검토됐으나 반대 여론으로 충남 당진 석문지구로 결정됐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수소는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화석연료보다 친환경적이고 안전해 하루빨리 에너지 정책을 전환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며 "인천은 다양한 산업시설들이 밀집돼 있어 수소 인프라를 갖추는 데 장점이 있지만 주민 수용성이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stone@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