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부터 26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시 성긴하이르한구 일원 2단계 조림장이 마련된 곳에서 나무심기 활동을 벌이기에 앞서 자원활동단원과 몽골 주민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 22일부터 26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시 성긴하이르한구 일원 2단계 조림장이 마련된 곳에서 나무심기 활동을 벌이기에 앞서 자원활동단원과 몽골 주민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왜 몽골까지 가서 잘 자라지도 않는 나무를 심어야 할까."

지난 24일 몽골 울란바토르시 성긴하이르한구 21동에서 약 1천150 그루의 나무심기를 마치면서 한 자원봉사자의 머릿속에 문득 떠올린 생각이다. 이는 올해로 12년 차를 맞은 ‘인천 희망의 숲’ 조성사업을 바라보는 시 안팎의 회의적 물음이기도 하다.

사업은 법적 당위성을 갖고 있다. 10여 년 전 만들어진 ‘인천시 기후변화대응 조례’와 세계 각국이 맺은 ‘유엔(UN) 사막화방지 협약’에는 사막화 방지활동은 해야 하는 일이라고 돼 있다. 사막화나 산림 황폐화로 피해를 입고 있는 국가에 대한 국제적 지원과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부정적 영향은 개별국가 차원이 아닌 국제사회에서 민관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써 있다. 또 한국전쟁 이후 국가재건사업에서 국제사회의 큰 원조를 받았던 우리나라가 이제는 세계가 인정하는 산림녹화분야의 기술을 갖춘 만큼 인근 국가들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사막화 진행률이 국토의 91%인 몽골에 숲과 공원을 만들겠다는 인천지역 사회의 노력은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지역 유치 이후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시의 첫 공적개발원조(ODA)로도 의미가 크다.

하지만 규정적인 근거로 이 사업에 대한 지역사회의 전반적 동의를 얻는데 한계가 있어 보인다. 관련 조례를 만든 시의회조차도 이 사업의 실효성에 의구심을 품고 매년 들쭉날쭉한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몽골 내륙의 사막과 황토고원에 올라 새까만 흙먼지를 직접 뒤집어 써 보다면 이곳에 왜 나무를 심어야 하는지 단번에 알아차릴 수 있다. 극심한 가뭄과 수많은 방목가축, 도시의 난개발, 모래·석탄 등 지하자원의 무분별한 채취로 몽골은 나무와 식물이 자라지 않는 죽음의 땅으로 변해 가고 있다.

식재로 땅을 살리는 방법이 유일한 과학적 대안이다. 시와 시민협의회가 지난해 말부터 노동·기술·시스템 의 집약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2단계 조림사업(2018∼2027년)을 몽골에서 다시 시작한 배경이다. 양 측은 2008∼2017년까지 몽골 다산칠링과 바양노르 등지(77ha)에서 11만여 주(株)를 식재한 노하우를 토대로 지난해 10월 울란바토르시를 설득해 100ha의 조림지(성긴하이르한)을 얻었고, 이곳에 2027년까지 10만 주 이상의 묘목을 심을 계획이다.

권전오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2단계는 철저한 데이터분석 값을 도출해 가장 효율적인 조림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이 사업은 사막화 방지 뿐만아니라 몽골 정부와 주민들의 나무(공원)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끌어 내고 있다"고 했다.

황선미 시 녹색생활팀장은 "2단계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예산 확보와 관정 등 수리시설의 확충, 기계화된 식재 및 식수 분무, 현지 관리인력과의 지속적인 협업 시스템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몽골 울란바토르=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