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앞바다에서 벌어지고 있는 무분별한 바닷모래 채취로 해양생태계가 크게 위협받고 있다는 소식이다. 비록 어제 오늘의 사안이 아니라 하더라도 해매다 채취량이 급증하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이 시점에서 전면적인 점검이 필요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의 정책적 개발에 밀려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바닷모래 채취량은 20년동안 파헤쳐지면서 해저 지층 유동에 따른 생태계 변화로 환경파괴와 어자원 감소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동안 환경파괴 및 어자원 감소는 주민들과 환경·시민단체로부터 숱하게 거론돼 온 바다. 그럼에도 지난 80년대초부터 본격적인 바닷모래 채취가 시작되면서 84년 한해 220만㎥ 채취됐던 양이 96년에 들어 무려 8배인 1천710만㎥로 급증했다. 이어 IMF체제이후 1천550만㎥로 일시적으로 다소 줄어들었으나 지난해 1천640만㎥, 올해 1천800만㎥로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다시 8배를 넘고 있다고 한다. 이같은 추세는 20년사이 옹진 해역에서만 1억7천만㎥에 가까운 해사가 채취돼 작약도 크기보다 많은 분량이 바다밑에서 파헤쳐 나온 셈이라니 충격적이다.
 
문제는 이같은 상황이 현상태로라면 더욱 악화될 것이 불보듯 하다는 점이다. 정부가 지난해 7월부터 연간 채취량 100만㎥이상·면적 25만㎡이상 일 때 채취허가를 받도록 돼있던 환경영향평가법을 개정해 50만㎥이상 채취량으로 허가기준을 크게 완화했기 때문이다. 이는 바닷모래 채취해역이 종전 30곳에서 올해 52개소로 급증한 데서 증명되고 있다. 각종 건설사업에 필수적 자재인 바닷모래는 서해 옹진해역을 비롯한 경기만의 부존자원이 전국적으로 80%를 차지하고 있어 인천 앞바다에서의 바닷모래 채취가 이뤄질 수밖에 없는 우리의 실정도 충분히 인정한다. 또한 재정형편이 열악한 옹진군 입장에선 연간 130억여원에 달하는 세외수입(해사채취료)이 적잖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결국 생태계 변화에 따른 수산자원 감소와 해양생태계 파괴를 방치하는 셈이 되고 이는 그 피해가 곧 인천시와 옹진군, 어민에게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다는 게 명약관화하다. 심한 몸살을 앓고 있는 인천 앞바다를 언제까지 방치할 수 없다고 본다. 정부는 골재수급만 따질 것인지, 옹진군과 인천시는 몇푼 안되는 해사채취료 수입에 급급할 것인지 묻고 싶다.

즉각 면밀한 실태조사와 더불어 해역별 휴식년제 도입 등 개선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