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성과가 기초지자체 간 편차가 크다.

인구 대비 국공립 어린이집의 공급은 원도심이 많이 부족한 반면 확충은 신도시 위주로 이뤄지고 있어서다.

6일 시에 따르면 지역 내 국공립 어린이집을 2016년 150개에서 지난해 205개로 확충했다. 올해는 235개, 2020년은 260∼270개, 2021년 300개까지 확충한다. 지난해에 확충된 곳은 33개, 올해 상반기에는 17개다.

하지만 원도심 주민들은 허탈해 하고 있다. 계양구 등 원도심에 확충된 국공립 어린이집 수가 신도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난해부터 확충된 총 50개의 국공립 어린이집은 연수구가 14개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중구 8개, 남동구·서구·미추홀구 각 6개, 부평구 5개, 계양구·옹진군 각 2개, 동구 1개 순이다.

특히 연수구는 올해 확충한 6개 국공립 어린이집 중 5개가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했으며, 중구는 올해 4개 중 3개가 영종국제도시 안에 있다.

보육 수요를 감안하더라도 원도심의 국공립 어린이집은 신도시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지난해 기준 7세 이하 아동 수는 서구 4만3천87명, 남동구 3만8천3명, 부평구 3만1천432명 순이다. 국공립 어린이집 정원 수 대비 7세 이하 아동 수는 서구 24명, 부평구 22명, 계양구 21명, 미추홀구 18명, 남동구 17명 순으로 많다.

서구·부평구·계양구 등의 원도심은 국공립 어린이집에 입원하려면 20대 1의 경쟁을 치뤄야 하는 셈이다.

시는 그동안 원도심의 국공립 신설이 적은 이유로 재원과 부지 확보를 언급했다. 신규 택지개발지구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원도심 지역은 새로운 부지를 찾는데 어렵다.

여기에 기존 보육시장에 자리잡고 있는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반발도 배제할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있는 어린이집을 국공립으로 전환해 운영하는 방식으로 국공립 어린이집을 확충하고 있다. 기존 민간어린이집 운영자와 임대차 및 운영권 이전계약을 체결하고 지자체는 기존 운영자의 운영권을 지속 보장하는 방식이다. 신축이나 매입 없이도 국공립 전환이 가능해 비용도 절감하고 민간 어린이집의 반발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 방식도 원도심은 한계가 발생한다. 원도심 내 아파트는 20여 년 전에 생기다 보니 단지 내 마땅한 장소가 부족해 운영 중인 어린이집이 없는 탓이다.

게다가 원장의 연령, 장기근속 보육교사 현황, 교사 처우 등 국공립 장기임차 심사기준에서 탈락하는 경우도 많다.

주민 A씨(36.미추홀구)는 "집 근처 국공립 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지 못해 단지 내 가정 어린이집에 아이를 등원시키고 있다"며 "같은 인천에 살고 있지만 ‘원도심’이라는 이유만으로 질 높은 보육을 받지 못한다는 상황이 홀대로 느껴진다"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