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국제도시의 바이오산업과 남동인더스파크의 중소기업을 연계하는 ‘인천바이오헬스밸리(비멕벨트)’는 어떻게 조성될까."

바이오밸리를 구축한 경험이 전무한 인천시가 명확한 답변을 내놓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동아쏘시오그룹이라는 3대 앵커 기업이 송도국제도시에 똬리를 틀고 있지만 중소·벤처기업과의 연관 생태계는 그동안 조성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민선 7기 시정부는 관(官)이 주도하는 바이오산업밸리를 조성하겠다고 천명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의 비멕(생명과학·의료공학·창조산업)벨트 구상은 2015년 7월부터 거론됐다. 시는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인천바이오헬스밸리’라는 새로운 명칭을 만들고 관련 연구용역을 준비하고 있다.

시는 바이오헬스밸리의 첫 단추로 남동국가산업단지와 인접한 송도 11공구 상단부에 바이오융합산업기술단지(17만8천282㎡)를 조성하기로 했다. 신·구 산단의 가교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시와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는 이곳에 250개의 바이오·헬스케어 관련 기업을 유치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하지만 입주기업 수요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아 이곳에 입주하겠다는 기업 명단은 확보되지 않은 상태다. 250개 사라는 수치는 땅의 크기와 기업별 입주 규모에 따른 추정치에 불과하다.

2016년부터 추진된 바이오융합산단이 민선 7기에서 땅을 얻었지만 오히려 시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할 처지가 됐다. 빈 땅에 바이오 벤처·스타트업을 채워야 하고, 동시에 이제까지 시도된 적 없는 남동산단 기업들의 업종전환 유도 혹은 관련 기업 유치를 해야 한다.

송도바이오를 이끌고 있는 거대 앵커 기업들은 매년 수천억 원이 드는 원·부자재와 시설, 장비, 부품 등을 소모하고 있지만 90% 이상 외국산 제품으로 조달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 제조 특성 상 엄격한 국제기준을 지켜야 해서다. 그러다 보니 시는 바이오 대기업이 쓰고 있는 장비나 부품을 개발해 국산화할 중소기업을 찾아야 한다. 하지만 남동산단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이와 관련한 사전조사나 수요조사도 하지 않았다.

남동산단 기업(6천800여 개 사) 중 이를 맡아 추진할 기업이 어느 기업인지 조차 파악은 언감생심인 것이다.

전문가들은 남동산단에 인위적으로 바이오·헬스케어 혁신존 등을 만들어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인천TP도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의료기기 생산 등을 전문으로 하는 제조혁신센터 구축을 구상하고는 있다. 남동산단 기업 중 4천여 개사가 기계·전기전자에 종사하고 있어 이를 융합한 메카트로닉스 분야를 키우면 바이오 대기업에 공정별 자동화 장비를 공급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지역 바이오 중소기업의 한 관계자는 "민간기업에 업종전환을 강제하면 사업이 실패할 수 있고, 남동산단 내 바이오 관련 기업만 입주할 수 있는 구역이나 센터를 만드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다"라고 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