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의 핵심은 협업과 소통, 주민자치입니다. 여기에 백령도 심청이마을처럼 역사적인 스토리텔링이 잘 입혀져야 지속가능성이 있습니다. 역사를 입혀 섬의 브랜드 가치를 키우고, 만약 역사가 없다면 그 흔적을 발굴해 도시재생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50(1).jpg
 인천지역 도시재생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최태안 인천시 도시재생건설국장의 말이다.

 최 국장은 한국전쟁 이후 분단의 아픔을 가장 앞에서 겪고 있는 서해 최북단 백령도와 같은 섬마을에 조속히 기반시설 등을 확충해 원주민의 정주 여건을 높일 수 있는 시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 국장은 "백령도의 경우 기반시설과 생활편의시설, 문화복지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서 원주민들이 내륙으로 떠나고 있다"며 "마을의 활력을 되살리고 안전하고 편안하면서 아름다운 마을로 백령도가 거듭나기 위해서는 정주 여건 개선사업이 전제돼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서 최 국장은 첫째도 ‘주민 주도’, 둘째도 ‘주민 중심’, 셋째도 ‘주민 자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노후한 마을에 꽃 한 송이를 심더라도 주민들이 원하는 곳에, 주민들에게 필요한 곳에 심어야 뉴딜사업의 의의가 있다"며 "주민들이 원하지 않는 것을 관이 주도해서 건물을 지어주고 도로를 넓혀 줬다고 해서 도시재생이 된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이에 따라 시와 인천도시재생지원센터는 옹진군과 협업해 주민 참여 제고 및 주민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컨설팅 지원과 행정적 지원을 벌이고 있다. 백령 심청이마을 뉴딜사업을 위해 현재 8명의 주민협의체가 구성돼 있으며, 나머지 원주민들도 마을 개선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최 국장은 "다행히 섬마을 특성상 주민들이 형제자매처럼 살뜰하게 서로를 챙기고 가깝게 지낸다고 하니까 백령 심청이마을의 비전은 밝다"며 "이곳에서 인천 섬마을 최초의 뉴딜 성공 모델이 정착되면 지역 내 다른 도서 지역에도 확대해 적용할 구상을 갖고 있다"고 했다.

 최 국장은 백령 심청이마을을 비롯해 지역 내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소신도 들려줬다.

 그는 "재생사업은 전면 철거와 강제 수용 작업을 벌이는 재개발사업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 태동됐다"며 "그렇다고 해서 날로 쇠퇴하고 있는 원도심과 마을의 공동화를 방치해서도 안 되는 까닭에 소규모 재생사업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새 정부 들어 추진되고 있는 뉴딜사업의 경우 이제 시작한 지 1∼2년이 경과한 상황이라서 전국적으로 성공 사례나 높은 사업 진척률을 보이는 사업대상지는 아직 없다"고 했다.

 또 교통이 거의 단절되다시피한 도서지역을 비롯해 원도심의 공동화가 한두 가지 요인이 아닌 복합적 차원에서 빚어진 만큼 마을 활력 복원에 재생사업이 갖는 한계도 분명히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신도시로의 이사, 학군의 쇠퇴, 30년 이상 된 빈집의 증가, 좁은 이면도로와 주차난, 치안과 방범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원도심은 자꾸만 쇠락하고 있다"며 "이제는 재생사업에도 보육·여가·체육·문화시설이라는 복합적 콘텐츠 구축을 통해 신도시 이탈을 막고 전 연령층의 안정된 정주환경을 제공해야 하는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고 했다.

 최 국장은 "현재 시는 각 지역별·구역별로 원주민들의 정주 여건이 어떤지 실태조사를 벌이고 있다"며 "이를 토대로 각 마을에 필요한 기초·편의시설 등을 뉴딜사업이 아니더라도 군·구 및 유관기관과 협업해 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아울러 지역별 거점 특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가 보유한 토지 및 건물 등 행정자산을 과감하게 지역 특화사업에 투자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특히 개항과 해방정국, 전쟁을 거치면서 인천에 켜켜이 쌓인 역사적 유산들의 자취를 복원하고 현대화해서 역사문화적으로 특화된 마을재생사업을 민선7기 시정부와 함께 활발하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550연(2).jpg
 최 국장은 "백령도 뉴딜사업을 통해 원주민들이 거주 의욕을 잃지 않고 최북단 섬마을 삶의 터전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를 바란다"며 "시는 유·무형적인 지원을 약속하면서 신속한 행정적 협업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그는 "비록 인구 고령화와 열악한 기반시설로 힘들어하는 섬마을 뉴딜사업이 정주 여건 개선에 큰 의미를 두고 있지만 이 사업을 통해 주민들도 ‘할 수 있다, 바꿀 수 있다’는 공동체 및 유대의식이 강화되기를 기대해 본다"고 말했다.

 그는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을 위해 관련 공무원들에게 당부도 남겼다.

 최 국장은 "도시재생은 구축되는 시설별로 담당 부서가 달라서 협업이 중요하다"며 "이 사업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서로의 칸막이를 없애고 머리를 맞대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는 열린 마인드를 가져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여러 부서가 효율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을 비롯해 신선하고 실질적인 콘텐츠로 마을 재생사업이 채워질 수 있도록 공무원들이 부단한 관심과 노력을 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정부와 지자체 간 뉴딜사업에서 보이는 이견을 풀기 위한 해법도 제시했다. 뉴딜사업이 현실적으로 부딪히고 있는 난관인 재원 분담 문제와 국공유지 무상 양여의 어려움, 계획 수립과 집행 단계에서의 물리적 시간 부족 등을 풀기 위해서는 국토교통부와 광역지자체, 기초지자체, 마을 주민 등이 서로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애로사항을 해소해 주려는 솔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사진=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