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상수도사업본부가 지난달 30일부터 시작된 ‘붉은 수돗물’ 사태의 원인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대응책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섬 지역 물 관리조차 엉망인 것으로 드러나 근본적인 물 관리 개혁 방안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인천지역 168개 섬 주민들은 누구에게나 공평해야 할 물이지만 해마다 되풀이되는 가뭄으로 지속적인 물 부족 사태를 겪어 왔다.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리는 섬 지역 주민들을 위해 시가 보다 더 체계적인 물 복지 실천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17일 보도에 따르면 백령도에 세운 댐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고, 무의도 등 기존 해수담수화 시설 상당수는 아예 사용을 못하고 있다. 시와 상수도본부는 2004년 옹진군 백령면에 용량 23만1천t의 연화리댐을 만들었지만 역할이 미미하다. 주민 5천여 명에게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해 계곡을 막아 취·정수장과 관로를 설치했으나 주민들이 지하수를 선호하고 가뭄 때문에 댐이 비어 현재 급수 인원은 200∼300명 남짓에 불과하다. 또 무의도의 경우 2010년 설치한 해수담수화 시설은 주민들의 기대와 달리 전기요금 문제와 잦은 고장으로 가동을 멈춘 채 방치돼 있다.

섬지역 가뭄은 충분히 예측이 가능하더라도 반복되는 농업·생활용수 부족 현상을 풀어 줄 만한 뾰족한 대책이 없다. 물을 가둬 놓을 수 있는 저수지 등이 갖춰지지 않은 작은 섬일수록 정도는 더욱 심하다. 아끼지 않아도 영원히 펑펑 나올 것만 같은 물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너무나 간절한 물이다. 만성적으로 물 부족을 겪고 있는 섬 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해수 담수화 시설을 확대하고 농업 용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저류지를 신설하는 등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물이 부족해서 고통받는 일이 단번에 해결되지는 않더라도 추가 식수원 발굴이 어려운 섬 지역 최소화는 시급한 일이다.

인천시는 살고 싶은 섬을 만드는 데 차질없도록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선도적인 물 관리 대책을 수립해 도서지역의 정주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이미 붉은 수돗물 피해지역이 서구·영종·강화로 확산됐지만 허술한 늑장 대응으로 정부 원인 조사반이 구성·운영되면서 자체적인 해결 능력이 없는 무능한 지방 정부라는 낙인이 찍혔다. 이제라도 심기일전해 근본적인 물 관리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