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시의회에서 ‘인천지역 민주화운동의 개념 정리에 대하여’라는 토론회가 열렸다.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추진위원회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지역 시민사회 단체 관계자들이 모여 인천의 민주화 운동 시기를 어디까지 볼 것인지, 또는 어떤 사안까지 포함시켜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발제자는 인천의 민주화운동 시기를 이승만 정권이 출범하는 1948년에서 노태우 정권의 임기 말인 1993년까지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1987년 인천 5·3민주항쟁, 6·10항쟁 등 반독재 투쟁을 중심으로 봐야 한다는 판단이다.

 인천지역에는 크게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와 인천평화복지연대, 그리고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의 시민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 중 인천시민연대,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등이 발제자의 주장과 맥락을 같이한다. 반면 인천평화복지연대와 인천경실련 등은 인천의 민주화운동을 보다 확대해 고민해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약간의 차이는 있겠으나 80년대 시작된 선인학원 민주화투쟁, 굴업도 핵폐기장 건설 반대운동 등까지도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속내를 살펴보면 현재 인천지역에서 추진 중인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과 연결돼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의 공약이기도 한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 이후를 두고 시민단체들이 주도권 싸움을 하고 있다는 게 지역사회의 중론이다.

 인천 민주화운동에 대한 시기와 현안에 따라 당시 주도적으로 활동했던 인사들이 많은 단체에 힘이 실리고, 결국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의 기득권을 가져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시민들, 혹은 시민사회를 좋게 바라보지 않는 이들에게는 그들만의 ‘밥그릇’ 싸움으로 비춰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인천의 민주화운동을 어디까지 볼 것인지를 정하는 것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할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그 의미가 다른 목적과 연관돼 있다면 퇴색될 수밖에 없다. 인천시민들이 민주화운동 개념 정리에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을지 생각해 봤을까.

 부디 인천시민들을 위해 권력에 비판의 목소리를 서슴지 않는 시민단체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길 바란다. 이 일 외에도 가뜩이나 바쁠 텐데 서로 한 발씩 양보하고 보다 중요한 일에 심력을 쏟기 바라는 마음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