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천400여 개 점포가 운영 중인 인천 부평지하상가는 상인연합회가 구역별로 부여한 상가 번호(사진 오른쪽 위)로 세부 주소를 대신하고 있어 개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1천400여 개 점포가 운영 중인 인천 부평지하상가는 상인연합회가 구역별로 부여한 상가 번호(사진 오른쪽 위)로 세부 주소를 대신하고 있어 개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천시 부평구가 부평역세권 상가 새 주소체계 도입 사업에 손을 놓은 채 행정안전부만 쳐다보고 있다.

10일 구에 따르면 지난 2월 ‘입체 건물(부평역사) 주소체계 개발 시범사업’ 완료보고회를 열었다. 하지만 아직도 해당 사업은 시작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개발 시범사업 보고회는 사실상 용역 결과 발표 자리였다.

이 사업은 기존 부평지하상가에서 사용하던 상점별 고유 번호 대신 새로운 주소체계를 개발·도입하는 내용이다. 시범사업 공모 경쟁에서 최종 선종돼 정부로부터 1억8천만 원의 특별교부세를 지원받았다.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컨소시엄에 용역을 의뢰해 도로명주소와 유사하게 ‘빨강1길’, ‘빨강2길’ 등의 이름을 붙인 뒤 경로를 따라 세부 번호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받았다.

문제는 용역 결과가 나온 지 수개월이 지났음에도 실제 사업은 진행되지 않아 시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3만1천㎡ 규모에 1천400여 개 점포가 입주한 부평지하상가는 상인연합회가 구역별로 부여한 상가 번호로 세부 주소를 대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민들은 지하상가가 "미로 같다"거나 "길을 잃으면 나오지 못한다"는 등의 불편을 호소해 왔다.

오랜 시간 지하상가에서 영업을 한 상인들도 자신의 매장을 벗어나면 길을 잃는 사례가 종종 있어 새로운 시스템 구축을 요구하고 있다.

남성복 매장을 운영하는 상인 A씨는 "손님이 전화를 주고 찾아오겠다고 하면 가게 주변 대형 화장품 매장까지 온 뒤 다시 한 번 연락을 달라고 안내하고 있다"며 "길 찾기도 불편하지만 큰 불이라도 나면 소방관들이 잘 찾아올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올해 초 발표한 용역 결과는 우리 구에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표준화시키기 위해 행안부가 주도한 것"이라며 "사업 완료 뒤 그 결과를 행안부에 보고했고, 국가 정책이라서 시행까지는 주소법 개정과 관련 절차들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법제화 이후 공식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아직은 구에서 별도로 추진하는 내용이 없는 상태"라며 "행안부에서 용역 결과 방안으로 제시된 4가지 사항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자세한 추진사항을 파악해 보겠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stone@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