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0.jpg
▲ 제물포 지하상가. /사진 = 인천시 제공
인천지역 내 지하도상가에 주소형 화재감지기 설치가 늦어지고 있다. 시민 안전이 우선이지만 지하도상가 조례 개정 등을 둘러싼 갈등이 길어지면서다.

10일 시에 따르면 지역 내 지하도상가는 총 15개소에 3천579개 점포가 영업 중으로, 보도와 각종 부대시설까지 포함한 면적은 8만9천291㎡에 달한다. 전체 일일 방문객만 21만 명에 이른다.

하지만 지하도상가 중 주소형 화재감지기는 하나도 없다. 주소형 화재감지기는 각 감지기마다 별도의 주소를 부여해 화재가 시작된 지점을 특정할 수 있는 장치지만 설치 의무 대상인 열·연기 감지기 2천120개가 설치됐을 뿐이다. 일반 연기·열 화재감지기는 법적 기준에 맞게 설치해도 약 600㎡에 이르는 구역별로 화재 발생 장소를 알리는 탓에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

특히 부평역 지하상가는 출구가 31개에 달하고 신부평·중앙·대아 등 여러 구역으로 나눠져 소방인력의 신속한 투입이 어렵다. 대부분의 지하상가가 명확한 주소체계 없이 점포 번호로 대신해 긴급상황 때 발생 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도 쉽지 않다.

시와 시설공단은 지난 6월 1억8천만 원의 예산을 들여 열 감지 위치를 소방서와 점포주에게 자동 전파하는 IoT화재감지기를 300여 개 설치할 예정이었다. 시설공단 직영인 제물포지하도상가와 배다리지하도상가에 우선 설치 후 차차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IoT화재감지기 설치는 제물포지하도상가의 개·보수공사 단계부터 차질이 생겼다. 지난해 제물포지하도상가 상인들에게 개·보수 비용을 투자받는 대신 점포 임대기간 연장을 제안했지만 이견으로 무산된 후 시가 직접 개·보수를 추진하면서 착공 일정이 크게 늦어졌다. 이달 중 시공업체를 선정하고 12월께 준공하면 IoT화재감지기는 내년 초에나 설치될 예정이다.

민간 위탁 방식인 나머지 13개 지하도상가도 설치가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인천시 지하도상가 관리 조례를 놓고 상인들과의 갈등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이동호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교수는 "지하도상가 또는 지하철은 구조상 유독가스 및 연기 배출과 외부 대피가 어려워 화재 발생 시 특히 위험하다"며 "IoT 기술 도입은 화재 위치 파악에 용이하고 향후 다른 설비로도 확장시킬 수 있어 시민의 안전 확보를 위해 적극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지하도상가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