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 소외지역의 이동권 복지 정책인 ‘경기복지택시’ 이용률이 연평균 16.1% 증가하고 있지만 복잡한 이용 절차와 사후 정산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4일 경기연구원의 ‘경기복지택시 이용 방식을 스마트하게 바꾸자’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복지택시는 2014년 안성시와 여주시에 처음 도입한 이후 2015년 12월 말 6개 시·군 88개 마을, 478대 운행에서 지난해 12월 말 9개 시·군 188개 마을, 1천104대 운행으로 크게 증가했다.

편도 기준 이용자 수는 2015년 2만7천266명에서 2018년 9월까지 11만3천44명으로, 연평균 16.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9월 8개 시·군 16개 마을의 경기복지택시 유경험자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복지택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91.9점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경기복지택시 이용률 증가세와 높은 만족도에 비해 이용 방식은 다소 번거롭고 불편한 실정이다.

현재 이용자들이 복지택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마을 주민임을 확인하기 위해 이장에게 복지택시 배차 신청 ▶왕복 1회/일, 월별 4~10회 등 복지택시 이용 횟수 제한 등의 문제가 있으며, 택시운송사업자도 매월 관할 관청에 정산서류를 제출해야 하는 번거로운 행정절차가 반복되고 있다.

송제룡 선임연구위원은 "다양하고 복잡한 복지택시 이용·운행 기준을 단순화해 특정 이용자가 아닌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 ‘누구나’ 시·군별 예산이 허용하는 한 최대한 이용 횟수를 완화해 ‘수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복잡하고 까다로운 이용 절차 개선을 위해 복지택시 예약·접수·정산 기능을 통합한 콜·정산 시스템을 구축하면 이용 방식이 크게 간소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용자가 복지택시 이용을 위해 콜 시스템 또는 휴대폰 앱을 통해 예약하면 통합시스템은 운전기사에게 배차 정보를, 해당 시·군에는 정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택시 이용 및 운행기록 정보를 자동 전산화해 사전 주민 확인 절차, 운행일지 작성, 운행비용 지원신청서 작성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