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0.jpg
▲ 자체매립지 해법 찾기 토론회. /사진 =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자체 매립지를 공론화위원회 1호 의제로 상정하기로 하면서 기초시설 설치에 관한 논의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자체 매립지를 조성하더라도 매립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각장과 전처리시설, 음식물 자원화시설, 음폐수처리시설 등을 선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시는 오는 25일 열리는 ‘자체매립지 해법찾기 토론회’ 결과를 통해 공론화위원회 1호 의제로 자체 매립지 조성 현안을 상정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시는 인천만의 독자적이고 안정적인 폐기물 처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이번 토론회와 공론화 과정을 진행한다.

확충이 필요한 대표 시설로는 소각장이 꼽힌다. 현재 하루 840t을 처리할 수 있는 광역소각장은 2030년이면 하루 1천550t까지 처리요구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처리시설을 확충하고 분리배출 시스템을 갖추는 등 처리량을 줄인다고 해도 지금 시설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도 운영계획을 다시 들여다봐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청라(100t)와 송도(200t), 남동구(98t), 미추홀구(200t) 네 곳에서 공공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나 미추홀구는 시설 노후와 경비 문제 등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음식물까지 모두 소각처리하는 대책이 거론되고 있지만 음식물쓰레기를 생활폐기물로 통합해 소각할 수 있는 법제화가 선행돼야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음식물류폐기물 폐수(음폐수)처리시설과 하수슬러지 재활용시설 역시 수도권매립지에 일정 부분 의존하고 있어 자체 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시가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한 음폐수는 7만848t, 하수처리장 등 공공시설에서 자체 처리한 양은 9만4천900t이다. 자체 매립지 운영을 위해서는 자가 처리량을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

하수슬러지는 자체 재활용시설이 없다. 2018년 시 하수슬러지 처리량 14만5천447t 중 송도자원순환시설에서 처리한 양은 1만5t에 그쳤다. 나머지는 사설 시설에서 처리했다. 51%인 7만5천t은 수도권매립지로 반입돼 매립하거나 재활용됐다.

시 관계자는 "공론화 과정에서 시설 확충을 비롯한 구체적인 해법들도 다뤄질 수 있을 것"이라며 "시설 설치에 대한 반대도 있겠지만 기본계획 수립 과정부터 기초단체를 참여시켜 형평성 있고 공정한 계획이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자체매립지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