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대표 수출제품인 휴대전화 산업 규모가 글로벌 수요 둔화와 중국 업체와의 가격경쟁 등으로 2013년 이후 급격하게 축소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발표한 ‘국내 휴대전화 산업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주요 스마트폰 출시 이후 확대된 국내 휴대전화 산업은 2013년 이후 산업생산이 감소하고 사업체 수가 줄어드는 등 빠르게 축소됐다.

전국 산업생산이 2013년 25조4천억 원에서 2017년 10조1천억 원으로, 사업체 수도 450여 개에서 220여 개로 절반이상 감소했다. 경기도내 역시 산업생산이 7조4천억 원에서 2조8천억 원으로 62% 줄었고, 사업체 수도 160여 개에서 80여 개로 반 토막 났다. 전국 완제품 수출도 2008년 221억 달러에서 2018년 61억 달러까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으며, 부품 수출도 114억 달러에서 84억 달러로 26% 줄었다.

규모가 줄어들면서 종사자 수도 줄었다. 휴대전화 산업 종사자 수는 2013년 4만 명에서 2017년 3만 명으로 감소했다.

국내 휴대전화 산업이 2013년 이후 축소된 것은 글로벌 휴대전화 시장의 수요증가세가 빠르게 둔화하고, 선진국·프리미엄폰 중심에서 신흥국·중저가폰 위주로 전환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대수 증가율은 2010년 72%까지 상승하는 등 2013년까지 연 40% 이상의 높은 신장세를 보였으나 이후 빠르게 하락해 최근에는 1%대에서 정체하고 있다.

특히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 업체와의 경쟁이 심화한 것도 이유로 꼽혔다. 중국 업체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2013년 14%에서 2017년 32%로 확대됐으나 국내 업체는 28%에서 23%로 하락했다.

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2007년 스마트폰 출시 이후 빠르게 증가하는 글로벌 수요에 대처하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자 중국·베트남 등 신흥국에 생산시설을 확대한 것도 국내 휴대전화 산업 규모 축소의 원인으로 지적됐다.

한국은행 경기본부 박근형 과장은 "휴대전화 제조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크게 떨어진 점을 고려할 때 연구개발, 디자인,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역량을 집중해 국내 휴대전화 생태계의 고부가가치화를 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재학 기자 kjh@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