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MRO(항공정비)단지 조성을 추진한다. 정부의 MRO단지 조성사업 유치 경쟁에서 경남 사천에 고배를 마셨으나 인천국제공항의 입지 조건과 상징성을 바탕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MRO단지 조성사업을 주도하는 인천국제공항공사의 배후에서 정비인력과 기업을 육성하고, 경제자유구역법에 의거 각종 인센티브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최근 관련 업계에서는 사천이 국내 항공우주산업의 중심이 될 수는 있어도 MRO사업의 핵심지는 될 수 없다는 의견이 나온다. 사천공항의 활주로 2.8㎞로는 LCC(저가항공사)의 소형 항공기나 군용기 이착륙만이 가능해 수용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는 인천국제공항이 소재하고 있다는 장점을 활용할 계획이다. 정부가 장기적으로 인천국제공항을 세계 최고의 공항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인데다, 세계 최고의 허브공항으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MRO단지를 두고 항공기 운항의 안정성 보장이 필수적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하지만 인천공항은 환승률과 결항률이 세계 허브공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전 세계 주요 허브공항의 환승률은 30%를 웃도는 반면 인천국제공항 환승률은 10%대에 머물고 있다.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 역시 20%를 넘기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해외에 위탁하던 연간 약 1조 원 규모의 항공기 정비물량이 국내로 전환되면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외화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2017년 기준 국내 항공사가 정비를 위해 해외로 지출한 비용이 1조1천733억 원에 달한다. 총 정비비 2조2천793억 원의 절반가량을 외국 업체에 지불했다.

그럼에도 MRO단지 조성사업의 명분을 만들고 지원 범위를 구체화할 수 있는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돼 있는 점은 해결 과제다.

시 관계자는 "항공기 정비는 운항 안전과 직결된다"며 "항공기 사고는 대형 참사가 될 수 있어 시민, 나아가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경제적 이익도 창출하는 MRO단지 조성사업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이어 "타 지역과 경쟁해 항공정비산업의 파이를 뺏어오겠다는 것은 아니고, 각 지역별로 단지를 특성화해 시너지를 내는 미래 먹거리 사업이 될 수 있다"며 "인천 MRO 단지가 조성돼 정비수요가 많아지면 사천에 있는 관련 업체들이 추가적인 이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원석 기자 stone@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