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0.jpg
▲ 사진=기호일보 DB
‘2014 인천 아시안게임’이 끝난 지 5년이 된 지금, 인천에서는 대회 흔적을 찾을 수 없다.

인천은 아시안게임 개최 3주년 때 대회 자원봉사자와 대회조직위원회 직원 및 파견 공무원 등을 주경기장으로 초청해 대회 당시 노고를 격려하고, 대회기간 느꼈던 감동을 되새기는 등 내부 결속을 다지는 자리를 만든 게 전부였다.

이를 계기로 4주년 때는 시가 예산(3천만 원)을 편성해 인천시체육회 주관으로 행사를 계획했으나 이 또한 취소되면서 예산을 반납했다. 5주년이 된 올해는 아예 인천 아시안게임과 관련한 예산을 편성하지도 않았다.

문제는 국제대회를 치른 다른 도시와의 비교, 인천 아시안게임 인프라 상실 및 활용 부재 등에 큰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2002년 아시안게임을 개최했던 부산은 대회 잉여금으로 기념관을 건립해 전문인력 배치와 함께 대회 상징물 보존 및 프로그램 개발·추진 등으로 부산 아시안게임을 되새기고 있다. 평창 역시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후 300억 원(정부 지원+대회 잉여금)을 들여 재단을 설립한 후 현재 다양한 유산사업으로 평창 동계올림픽을 기억하고 있다.

반면 인천은 대회 개최 5년이 지났지만 대회를 기념하는 버젓한 기념관도 없을 뿐더러 유산사업을 진행할 매개체도 없다. 서구에 위치한 아시아드주경기장 한쪽에 설치된 기념관은 전문인력 부재로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는 평이다.

여기에 인천 아시안게임 시설은 1조5천억 원을 들여 만들어 놓고 유스올림픽, 비치아시안게임 등 제대로 된 국제 스포츠이벤트 유치 하나 없이 몇몇 종목의 국제대회 개최가 전부다.

실제 문학박태환수영장, 선학하키경기장, 옥련국제사격장, 인천국제벨로드롬경기장 등은 국제 규격의 경기장임에도 다음 달 서울에서 열리는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때 대관된 경기장은 한 곳도 없다. 경북 김천에서 수영경기가 열리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인천 아시안게임 당시 조직위에서 일했던 인력과 전문자료 등도 인천에서는 볼 수 없다. 전문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은 없고, 당시 수집된 전문자료들은 국가기록원과 국회도서관 등에 소장돼 있을 뿐 공간·시스템이 완비되지 않은 인천에서는 이들을 찾을 길이 없다.

특히 조직위에 근무했던 직원의 경력증명서 발급처가 불확실해 고초를 겪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로 인천 아시안게임의 흔적들이 철저히 지워지고 있다.

국세청과 싸우고 있는 인천 아시안게임 법인세(187억 원) 반환 소송 역시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그동안 담당변호사와 같이 준비했던 공무원이 다른 부서로 발령나면서 현재는 변호사 혼자 재판을 맡고 있다시피 한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그동안 인천 시민단체와 체육계가 인천 아시안게임의 유산사업을 이어가야 한다는 주장을 했음에도 인천시는 여전히 외면하고 있다"며 "그 사이 인천은 아시안게임 인적 자원 유실로 유산사업을 시작하려고 해도 여의치 않을 정도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시는 방관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올해 인천 아시안게임 관련 행사 예산 미편성은 3주년 행사 후 4주년 행사 추진 때 여러 가지 문제가 있어 취소된 사례를 바탕으로 판단한 것"이라며 "앞으로 법인세 반환 소송 등의 결과를 보고 유산사업 관련 사안을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최유탁 기자 cyt@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