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나라 장왕이 즉위초기 신하들의 면면을 알아내기 위해 3년간의 연극같은 시험을 한 일화는 오늘날 정치권이 되새겨 볼 귀감이다.

장왕은 국정에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매일 같이 연회와 사냥에 세월을 보내길 3년이 계속되자 지사들이 상소를 올려 제발 정치에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간언했다. 하지만 장왕은 한술 더 떠 “더 이상 짐에게 간하는 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포고령을 내렸다. 이때 오거라는 신하가 왕 앞에 나아가 물었다. “언덕위에 새가 한 마리 있는데 3년동안 날지도 울지도 않았습니다. 이 새는 대체 어떤 새입니까?” 그러자 장왕은 파안대소하며 “그 새는 드디어 한번 날면 하늘 끝에 이를 것이고 한번 울면 세상을 흔들 것이다. 그대의 뜻을 알겠다. 그만 물러가라.” 이런 일이 있은지 몇 달이 지나도록 장왕의 태도는 전혀 변하지 않았다. 이번엔 소종이란 신하가 장왕에게 나아가 간했다. “전하, 이렇게 정사를 외면하고 향락에만 빠져 있으면 나라가 마침내 멸망할 것입니다. 통촉하여 주십시오.” 그러자 장왕은 “그렇게 말하면 곧 죽음이라는 것을 그대는 알고 하는 말이렷다?” “전하께서 정신을 차릴 수만 있다면 하찮은 제 목숨 하나야 무엇이 아깝겠습니까. 부디 백성을 살피시옵소서.” 실은 장왕이 보낸 향락의 세월은 신하들의 흑백을 가리기 위한 계획된 정략이었다. 그날 장황은 자신에게 향락을 부추기면서 아첨하던 간신배들을 모조리 쫓아내고 인재들을 두루 등용, 후일 초나라를 일약 최강국의 반열에 올려 놓았다. 죽음을 각오하고 용기있게 간언해던 소종과 오거를 국정최고의 책임자로 임명했다.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정의와 투지, 의지를 돋보인 애국충정이다. 줏대없이 이런저런 말에 끌려다닌다면 소인배다. 대선을 앞둔 요즘 정가는 합종연횡이 일기 시작하면서 국민의 관심이 어느 때 보다 높다. 자당의 입 역할을 하며 정강정책을 제일로 내세우던 인물이 하루 아침에 공격을 했던 상대당의 품에 안기기도 했다. 이합집산의 행태를 지켜보는 국민의 시선은 고을 리 없다. 정신차려야 할 일들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天)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