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시기를 1년간이나 넘긴 경인운하 건설사업이 올 연말까지도 착공이 불투명하다고 한다. 서울 강서구 개화동과 인천 서구 경서동을 잇는 길이 18km에 이르는 경인운하 착공지연은 지난해엔 환경파괴와 인천지역의 양분화 및 교통문제 등 각종 민원문제를 매듭짓지 못한 가운데 환경단체와 지역주민들이 요구하고 나선 환경영향평가 등 환경대책이 해결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에는 시민단체와 한국개발원(KDI)에서 경제성이 없다는 분석결과를 잇따라 내놓음에 따라 경인운하사업이 백지화될 가능성마저 제기되고 있어 헷갈린다. 하긴 그동안 일각에선 수차에 걸쳐 굴포천 유역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선 방수로만 건설하고 운하건설은 사업성이 없다며 단념해야 한다는 여론이 제기되었지만 별관심 없이 오늘에 이르게 됐다니 답답하다.

더구나 지난해에는 환경부가 한강의 수질오염 가능성이 짙은 5만평 규모의 모래부두 건설과 관련한 4차 환경영향평가서의 제출을 요구했으나 보완문제가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것도 착공지연의 요인이 됐다는 것은 알만한 사람은 알고 있는 일이다. 그러나 당국은 굴포천 유역의 상습적인 침수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수도권 물동량중에서 컨테이너와 자동차·철강, 바닷모래 등이 육로대신 운하를 이용하면 비용절감이 크다는 주장이었다.

아무튼 문제는 경인운하 건설 백지화를 위한 수도권 시민공동대책위가 전문가로 구성된 시민평가단에 경인운하사업에 대비한 비용편익 분석을 의뢰한 결과에서 비용은 축소됐고 이익이 부풀려지는 등 사업타당성이 없다고 밝혔다면 귀담아 들어야 할 일이다. 또한 자체보고서를 통해서도 B/C(비용대비 경제효과)비율이 0.95밖에 안된다는 것은 걱정이다.

거듭 말하지만 경인운하 사업은 인천과 검단 그리고 강화간 양분화가 불가피해 연장 3천450m에 폭 33.8m 규모의 교량이 건설되지 않으면 교통난의 가중이 불을 보듯 뻔하다는 여론이 지배적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속에서 기획예산처와 환경부·해양부 등 관련부처의 요청으로 KDI가 5개월간에 걸쳐 실시한 경제성 재조사 용역결과에서 경인운하 사업이 비용대비 경제효과는 0.9선으로 분석됐다면 재론의 여지는 없다고 본다. 정부의 재검토를 촉구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