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여성’이라는 단어가 아직은 일반인들에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다. 

국어사전에 이주여성은 한국 남자와 결혼해 본래 살던 나라를 떠나 한국에 정착한 여성을 뜻한다. 본국을 떠난 이주여성은 여성이자 외국인이라는 이중적 취약성과 언어·문화적 차이 등 상대적으로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크다.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가 2020년도에 공개한 ‘국내 체류 이주여성의 범죄피해 분석’에 따르면 이주여성 중 한국에서 ‘범죄피해를  당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절반(48.6%)에 달했으며, 그 중 신고를 전혀 하지 않았거나 대부분 안 했다고 답한 이는 절반이 넘는 55.8%로, 범죄 신고 및 회복 측면에서도 취약성을 나타냈다.

이주여성 관련 유관기관 관계자는 "이주여성들은 2차·3차 피해가 두려워서 신고를 못하는 경우가 많고, 아이를 위해 계속 한국에서 살아야 하니 신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라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이 같은 범죄피해 이주여성들에게 종합적·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법률·복지·치료(상담)·회복 등을 담당하는 경찰, 지자체, 유관기관, 시민단체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범죄피해 이주여성 보호·지원 협의체’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사건 접수 단계부터 수사·보호·지원 전 단계에 이르기까지 협업·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2022년도 경기남부경찰청 외사과는 협의체 운영 활성화를 위해 일선 경찰서를 대상으로 워크숍 및 화상회의를 통한 우수 사례와 사례 발굴 노하우 공유, 애로사항 청취 등 내실화 방안을 추진해 기존 24개 서에서 운영 중인 협의체가 31개 서로 확대 운영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에 부천소사경찰서는 범죄피해 이주여성의 다양한 지원사례를 분석해 적극적인 지원활동에 힘을 쏟기로 했다. 남편에게 가정폭력 피해를 당한 중국인 여성에게 법률 상담 연계 및 생활비·생필품을 지원했고, 알코올의존증 모친(몽골)에게 학대 피해를 당한  다문화 학생에게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계 및 생활비·생필품을 지원했다.

또한 친부에게 학대를 당한 인도네시아 다문화 학생에게 생활비와 여권 발급 비용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지금도 가정폭력에 시달리고 있지만 어떻게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모르고 두려움에 떠는 이주여성들이 있다. 이들에게 ‘범죄피해 이주여성 협의체’의 움직임이 범죄피해 그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징검다리가 되길 바라며, 더 나아가 가정폭력이 없는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