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핵 개발국 의혹에서 좀처럼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외신 보도로 불거져 나온 우라늄 분리실험(2000년)과 플루토늄 추출실험(1982년)이 예상외의 파문을 일으키자 정부도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한번 실추된 이미지가 쉽게 회복될지는 의문으로 남는다. 최근 연구 목적의 우라늄 분리실험과 플루토늄 추출실험 사실이 잇따라 공개되자 국제사회의 태도는 한국 정부의 설명을 이해한다는 입장과 한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려 했던 것이 아니냐는 주장으로 엇갈리고 있다. 지난 9월2일 미국의 온라인 사설 정보지 넬슨리포트에 의해 2000년 한국 원자력원구소가 우라늄 분리실험을 했다는 보도를 한 데 이어 지난 82년 서울 공릉동 실험용 원자로에서 플루토늄 추출실험이 이루어졌다는 보도가 연이어 터져 나오자 국제사회는 한국의 핵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또한 일본 아사히신문은 지난 9월9일 80년대 전반 서울의 대사관에서 근무했다는 미 정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한국은 전두환 정권 당시인 82~83년에 플루토늄을 이용한 핵개발 계획을 극비리에 추진했다”고 전했다. 특히 `워싱턴포스트'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한국은 6년 전부터 핵실험을 해오면서 이를 계획적으로 숨기고 부인하고 속여왔다”고 보도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1982년 극소량의 플루토늄 추출실험이, 2000년에 소량의 우라늄 분리실험이 순수한 민간 차원의 연구 목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히고 있다. 지난주에는 통일부 외교통상부 과학기술부 장관이 합동으로 “정부는 핵무기 개발과 보유 의사가 없다”고 천명하고 나서는 등 적극적인 태도로 나서고 있다. 1991년 한반도 비핵화 선언으로 다짐한 약속을 재확인한 것이기는 하지만 사소한 `과거 핵 활동'이 IAEA의 사찰 대상으로 비화된 현실을 고려하면 시기적절한 대응이라고 본다. 정부가 핵의 평화적 이용을 다짐하고 IAEA 진상조사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 이상의 의혹해소 방법은 없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핵 투명성 확보에 동참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정당한 평가를 조속히 의혹에서 벗어나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런 일련의 과정속에 북한까지 “남한 핵 의혹 해소전까지는 6자회담에 나서지 않겠다”고 어름장을 놓고 있다. 핵 무장용 북핵과 남한의 평화적 핵 활동을 동급으로 취급하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려면 각국 정부와 언론은 한국의 성의 있고 적절한 의혹 해소 태도를 제대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佑)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