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도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 이말은 `열양세시기'편에 나온다. 5월 농부, 8월 신선이란 말 처럼 이른 봄부터 농부들이 흘렸던 땀의 결실이 추석무렵부터 새곡식과 햇과일이 수확되면서 풍요로움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추석을 가윗날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 고유명절로 추석은 `가윗날'이라 부르는데 이는 신라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부식의 삼국사기 유리이사금조에 보면 왕이 신라를 6부로 나눴는데 왕녀 2명이 각 부의 여자들을 통솔해 무리를 만들고 7월16일부터 매일 일찍 모여서 길쌈과 적마(積麻)를 밤 늦게까지 했다. 8월15일에 이르러서는 그 성과의 많고 적음을 살펴 진 쪽에서 술과 음식을 만들어 승자를 축하해주고 가무를 하며 각종 놀이를 했는데 이것을 가배(嘉俳)라고 불렀으며 이때 부른 노래가 슬프고 아름다워 회소곡(會蘇曲)이라도 불렀다. 즉 가배의 어원은 `가운데'란 뜻을 담고 있다. 고려시대에 불리워진 노래 `동동'에서도 추석을 `가배'라고 적었음을 보아 이 명칭이 지속됐음을 유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수서(隋書) `동이전 신라 조'에도 임금이 이 날 음악을 베풀고 신하들로 하여금 활을 쏘게 한뒤 상으로 말과 천을 내렸다고 적고 있으며 구당서(舊唐書) `동이전'에도 신라국에서는 8월15일을 중히 여겨 음악을 베풀고 잔치를 열었으며 신하들이 활쏘기 대회를 하였다고 적고 있다. 또 일본인 승려 원인(圓仁)도 중국 산둥근방에 살던 신라인들이 절에서 베푼 가배 명절을 즐겼음을 `입당구법순례기'에 기록했다. 한편 송편과 시루떡, 인절미, 밤단자를 추석음식으로 꼽았던 동국세시기에서 송편을 예쁘게 잘 빚어야 시집을 잘 간다고해 여성들이 예쁜 손자욱을 내며 반월형의 송편에 꿀, 밤, 깨, 콩을 넣어 맛있게 쪄냈으며, 솔잎을 깔아 맛으로만 먹는 것이 아니라 후가적 향기와 시각적 멋을 즐겼다고 적고 있다. 설에 이어 또다시 추석 명절을 고향 부모님과 친지들과 함께 보내기 위해 고향을 찾는 전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민족 대이동이 시작됐다. 추석명절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동시에 온가족이 둘러앉아 송편도 빚고 이야기 꽃도 피우면서 가족간 화목을 다지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萬)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