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2>

인천시가 위기에 처한 가정에 신속하고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한 `SOS 상담전화'가 유명무실화 될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이다. 한마디로 위기의 전화가 오히려 위기에 몰린 상황이니 참으로 우려를 금할 수 없다. 당초 관계당국은 경제적 어려움과 학대 또는 폭력 등을 예방해 가정의 붕괴를 막아보자는 취지로 이 제도를 도입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제도를 시행한지 반년도 못돼 운영상의 한계를 들어냈다니 대표적인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을 면키 어렵게 됐다.

보도에 따르면 인천시는 지난해 7월부터 경제적 어려움과 학대·폭력, 자살 등 위기에 처한 가정이 긴급하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응급전화 시스템인 위기가정 SOS 상담전화 1688-1004를 지역내 시·군별로 구축, 운영해 왔다는 것이다. SOS 상담전화는 각종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전화를 걸면 자동으로 관할지역 전문상담원에게 연결돼 상담을 받고 유관부서나 민간기관 등을 통해 상담 후 지원이 필요한 가정에게는 긴급생계비 또는 의료비 등을 지원한다는 취지에서 도입됐다고 한다. 그러나 위기가정의 생계비나 의료비는 SOS 상담소를 통해서만 지원한다는 처음의 계획과 달리 관할 읍·면·동사무소에 직접 가서 상담 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병행해 홍보부족으로 저조했던 상담전화 이용률을 더욱 떨어뜨리는 과오를 범했다. 또한 각 군·구의 사회복지과마다 한 대씩의 전화기를 추가로 설치했을 뿐 전담상담원이나 시설 확충 없이 기존의 직원들이 일을 겸직해 소극적으로 상담에 응하고 있다니 과연 이 제도를 운영할 의사가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야간에는 당직실에서 접수를 받는 등 상담전문인력도 배치하지 않았다니 더욱 그렇다.

특히 상담전화 담당공무원도 시행초기 위기가정 상담에 관한 교육을 한차례만 실시했을 뿐 교체된 직원에 대한 교육 또한 이뤄지지 않았다니 `24시간 전문상담을 받을 수 있다'는 약속이 무색할 정도라고 한다. 남구와 연수구의 경우 개통이후 2∼3달 동안은 거의 실적이 없었으며 지난해 11월부터 월 10∼20건 정도의 상담 실적을 보였으나 그나마 생계비와 의료비 지원금이 소진된 현재는 다시 상담자 수가 줄고 있다고 한다. SOS 상담전화가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 지난 10일에는 성격이 비슷한 위기상담전화 1577-0199를 또 다시 신설했다니 걱정이 앞선다. 지금이라도 제도를 재정비해 어려움에 처한 시민들에게 다가갈 비전 있는 정책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