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우 교수

1) 원정명 : 2009 인천대학교 [우리 모두 함께하는] 에베레스트 원정대
2) 대상지 : 네팔 히말라야 산맥 에베레스트봉(8천848m) - 남동릉
3) 원정기간 : 2009년 3월 23일~5월 28일(68일간)
4) 주 최 : 인천대학교 산악부
5) 주 관 :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총동문회
6) 참가인원 : 원정단장 김준우(지도교수) 등 7명
7) 등반목적 : 인천대학교 개교 30주년 기념 및 송도 신캠퍼스 이전기념
           대학교 최초 세계 7대륙 최고봉 완등
8) 등반성과 : 2009년 5월 19일 오전 8시 30분 김동언·김종호 대원 정상 등정

등반일정 

   
 

 

 

 

 

 

 

등반대원

   
 

칼라파타르는 푸모리의 능선에 있는 작은 봉우리로서 에베레스트와 로체 그리고 눕체를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특히 트레커들은 새벽에 오르게 되는데 아침에 헤드랜턴을 키고 오르는 트레커들이 산허리에 줄을 잇는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의 많은 산악인들이 여기를 목표로 오고 있다.

고랍섹은 마지막 로지가 있는 곳이다. 로지는 침식을 제공하는 숙소다. 에베레스트 로지들은 잠자리는 싸

   
 
지만 음식 값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비싸다. 트레커들은 대안이 없기 때문에 할 수 없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로지에서는 그래도 비싼 국제전화가 있다. 밤에 로지에서는 전 세계의 트레커들이 난로 옆에 옹기종기 모여 카드놀이나 잡담을 하면서 저녁을 보낸다. 대부분 올라가는 사람과 내려가는 사람들의 정보 교환이 이뤄진다. 보통 취침은 8시경에 하는데 트레커들이 침실로 가면 포터와 가이드들이 거실에서 잠을 자게 된다.
고랍섹에서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까지 가는 길은 에베레스트에서 흐르는 빙하 옆 돌산을 따라가는 길이다. 일단 이 돌산을 오르면 엄청난 빙하 크기에 놀랜다. 흐르는 빙하의 길이가 대략 서울에서 대전 정도 가는 정도라고 한다. 또한 빙하의 폭은 거의 쉬지 않고 3시간을 걸어야 하는 정도의 크기다. 돌산 길을 따라 빨리는 4시간 정도 가면 베이스캠프를 만나게 된다. 셰르파들에 따르면 돌산 길 위에서 멀리 베이스캠프 텐트가 보이면 반 정도 왔다고 한다. 공기가 맑아 멀리 있어도 가까이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돌산에서 내려와 빙하 위를 다시 1시간 반 이상 걸어가면 소위 베이스캠프로서 텐트를 칠 수 있는 곳에 도착한다.

 # 베이스캠프 설치
 
베이스캠프는 에베레스트 앞 봉우리인 눕체에서 흘러내려 온 아이스폴 앞에다 구축하게 된다. 에베레스트는 바로 앞의 로체와 눕체를 포함해 3봉으로 구성돼 있고 이들 봉우리에서 내려 온 만년설, 즉 아이스폴 위에다 캠프를 설치한다. 그래서인지 베이스캠프에서는 바로 앞 웅장한 눕체에 가려 에베레스트가 잘 보이지 않는다. 날씨가 좋은 날 에베레스트 끄트머리만 살짝 보일 뿐이다.
에베레스트를 오르려면 이 아이스폴을 지나가야 하는데 바로 이 앞에다가 베이스캠프를 구축하면 수월하다. 그래서 다른 팀보다 먼저 앞에 가서 치려고 셰르파를 미리 보내 자리 확보를 하게 된다. 우리도 짐과 셰르파를 미리 보내 아이스폴 바로 앞에다 텐트를 구축했다. 뒤따라온 박영석 남서벽 팀은 우리 뒤에 자리를 잡았다. 늦게 온 러시아 팀은 후미에 텐트를 구축해 거의 1시간을 걸어야 우리가 있는 아이스폴에 오게 된다. 이런 정도면 오다가 거의 지치는 수준이다. 크레폰에다 각종 장비를 몸에 걸고 또 무거운 배낭을 메고 얼음 위를 1시간 정도 걸으면 그 누구도 지치게 돼 있다.
베이스캠프는 아이스폴, 즉 빙하 위에다가 구축하기 때문에 날씨가 따뜻해질수록 바닥이 녹아 텐트가 움직인다. 점차 바닥이 녹아 굴곡이 심해지면 등이 아파 잠을 자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며칠에 한 번 바닥을 고르고 텐트를 다시 친다. 시간이 가면 텐트 바닥 녹는 속도와 텐트 주위가 녹는 속도가 달라 결국 텐트들만 우뚝 높은 곳에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각 텐트들이 얼음 위 높은 곳에 있어 기이한 모습을 하게 된다.
베이스캠프에서 잠을 자게 되면 먼 바닥에서 얼음 갈라지는 소리가 머리를 울려 잠을 자기 어렵다. 바닥 깊은 곳에서 밤새 나는 쩍쩍 소리가 소름끼치게 된다. 물론 나중에는 무감각하게 되지만 처음에는 혹시 내가 깊은 얼음 속으로 빠지지나 않을까 걱정도 된다.
다른 하나는 눈사태다. 날씨가 점차 따뜻해 짐에 따라 눈의 점도가 약해지고 결국 눈이 무너지게 된다. 말이 눈이지 큰 산이다. 엄청난 눈산이 무너져 내리면 엄청난 소리도 소리지만 눈사태가 우리 캠프에까지 밀려 들어온다. 정말 아찔한 순간들이다. 눈의 양이 많다면 텐트가 눈 속에 순식간에 묻히게 되는 것이다. 무료한 베이스캠프의 일상에서 하루 중에 변화라면 이러한 눈사태를 구경하는 일일 것이다.
베이스캠프에는 우리 대원뿐 아니라 쿡, 포터, 셰르파 등으로 구성되고 포터는 주로 베이스캠프까지 짐을 운반하고 돌아간다. 쿡도 베이스캠프 쿡이 있고 고소 쿡이 따로 있다. 고소 쿡은 캠프1에서 식당을 담당한다. 쿡은 한국 원정대를 많이 따라다녀 웬만한 한식은 소화한다. 간식 조리도 수준급이어서 감자 부침도 척척 해내는 수준이다. 쿡을 보조하는 키친보이도 몇 명 있는데 이들은 포터에서 승진해 베이스캠프에 남는다. 이들은 쿡을 도와 음식을 조리하는데 포터보다 많은 급료를 받는다.

셰르파는 등정대원을 도와 하이 캠프로 짐을 나르고 등정 시 대원을 도와 정상까지 함께 가게 된다. 만약 대원을 도와 정상에 오르면 급료 외에 소위 등정수당을 받게 된다. 이들은 봄과 가을 시즌에 한 번씩 원정대와 함께 하며 나머지 시간은 집에서 쉰다. 대원들은 서로 보다 기량이 높은 셰르파를 차지하려고 하는데 이는 등정 시 셰르파의 능력이 자신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셰르파의 대장을 ‘사다’라고 부르고 사다가 나머지 셰르파들을 고용하게 된다.  셰르파들은 보통 에베레스트 정상에 4~5번 정도 올랐던 경험이 있는 베테랑이다. 재미있는 것은 이와 같이 셰르파·쿡·치킨보이들이 거의 한 집안 식구라는 점이다. 이들의 소원은 거의가 돈을 벌어 트레킹 코스에 노후를 위한 로지를 소유하는 일이라고 한다.

 # 고소훈련
 
베이스캠프에 도착해 아이스폴 앞 텐트를 설치하고 고소 적응 훈련을 시작했다. 고소 적응 훈련은 캠프를 위치가 높은 순서로 4개를 설치해 순차적으로 올라 고소에 적응하는 일이다. 일시에 에베레스트 정상, 즉 8천848m를 올리게 되면 사람들은 정신을 잃고 죽고 말게 된다. 고소(high altitude sickness)는 매우 위험한 증상이다. 몇 년 전 계명대 OB대장이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에서 고소로 죽은 일이 있음을 상기하면 더욱 그렇다. 이렇듯 고소는 무서운 증상으로 빨리 대처해 하산하면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자칫 시기를 놓치면 죽음으로 이르게 되는 것이다. 고소 초기에는 머리가 아프고 식욕이 없는 증세가 나타나게 되나 중증으로 변하면 폐수종 혹은 뇌부종으로 발전해 손을 쓰기 어렵게 된다.
만약 운행 중에 고소가 나타나면 대부분 그 자리에서 하산하면 되지만 혼자 하산이 어려울 때는 포터의 등에 업혀 하산하거나 중간 마을에서 키우는 조랑말을 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좀 더 재정적 여유가 있

   
 
다면 헬기를 탈 수가 있는데 편하기는 하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은 것이 흠이다. 베이스캠프에서 네팔 수도인 카트만두까지 헬기 비용이 한 사람당 1만 달러, 국내 원화로는 약 1천300만 원이 넘는다.
고소 적응 훈련 과정은 먼저 캠프1에 올라 하루 쉬고 다시 베이스캠프로 내려 온 다음 며칠 쉰 뒤 다시 6천m에 위치한 캠프2까지 올라가는 훈련이다. 이러한 반복 운행을 약 8천m에 위치한 캠프4까지 계속해 마지막에는 캠프4에서 정상을 공격할 수 있도록 적응하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적응 훈련 과정에서 실패하면 당연히 정상 공격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적응 훈련은 많은 체력 소모가 있기 때문에 대원의 체력 및 과거 기록을 생각해 조심스럽게 훈련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또 하나의 복병은 소위 쿰부 감기라는 것으로 빙하(쿰푸빙하) 위의 텐트에서 거의 두 달간을 얼음같이 찬바람으로 항상 숨 쉬어야 하기 때문에 우리 몸의 기관지가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기침을 하게 된다. 이 기침은 일반 감기와는 달리 열도 없고 오한도 나지 않으나 심할 때는 숨을 쉬기 어려울 정도다. 문제는 대원이 이렇게 기침을 하게 되면 운행이 힘들고 결국 정상에 오르기 어렵다는 데 있다. 베이스캠프에서 기침을 하게 되면 위의 캠프에서는 운행이 더욱 힘들게 되기 때문이다.
나를 포함한 대원들 대부분 이러한 쿰푸 감기에 걸려 고생하고 있었다. 심한 기침으로 거의 잠도 제대로 잘 수 없는 수준이었다. 오로지 대안은 약이 아니라 이들 대원을 따뜻한 아래 지역으로 내려 체력 보강과 함께 쿰푸 감기를 완화시키는 일이다. 할 수 없이 심한 대원 몇 명을 아래 페르체 마을(약 4천200m)로 내려보냈다. <계속>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