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우 교수

원정개요
1) 원정명 : 2009 인천대학교 [우리 모두 함께하는] 에베레스트 원정대
2) 대상지 : 네팔 히말라야 산맥 에베레스트봉(8천848m) - 남동릉
3) 원정기간 : 2009년 3월 23일 ~ 5월 28일(68일간)
4) 주 최 : 인천대학교 산악부
5) 주 관 :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총동문회
6) 참가인원 : 원정단장 김준우(지도교수) 등 7명
7) 등반목적 : 인천대학교 개교 30주년 기념 및 송도 신캠퍼스 이전기념
           대학교 최초 세계 7대륙 최고봉 완등
8) 등반성과 : 2009년 5월 19일 오전 8시 30분 김동언·김종?대원 정상 등정

등반일정 

   
 

 

 

 

 

 

 

등반대원

   
 

5월 초가 임박했다. 5월 초부터는 정상 공격을 위해 모든 대원들이 베이스캠프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즉 정상 공격을 위해 베이스캠프에서부터 최소 5일 정도가 필요하다. 또한 날씨가 좋아야 하기 때문에 언제 날씨가 좋을지 몰라 항상 베이스캠프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날씨가 좋다고 판단될 때 바로 산에 올라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상 공격이 결정된 대원들은 5월 초부터 베이스캠프에 항상 대기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공격이 결정된 두 대원 중에 한 대원이 매우 힘들어하는 것이 안타까웠다. 당시 한 대원만을 올리기보다는 최소한 두 명이 올라야 한다는 것이 내 지론이었고 이 두 대원을 올리기 위해 나름대로 다양한 전략을 구상했다. 예컨대 다소 힘들어하는 한 대원을 보강하기 위해 우리 대원에게 좀 더 배려할 수 있도록 셰르파를 설득했고, 또한 필요한 산소통을 여분으로 1통씩 더 확보했다. 당시 내 생각으로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동원한다면 이 두 대원이 안전하게 정상을 정복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산소는 보통 캠프4에서 물고 올라가는데 만약 캠프3에서부터 물고 올라간다면 보다 쉽게 정상에 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  에베레스트와 로체 나누어 등정 등록

   
 

당시 우리에게는 에베레스트뿐만 아니라 로체 등정에 대한 입산 허가증을 갖고 있었다. 사실 에베레스트 입산료는 한 대원당 약 1만 달러이며 한화로는 1천300만 원 정도 한다. 대신 바로 옆에 붙어 있는 로체는 약 200만 원 정도로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사실 로체나 에베레스트나 캠프4까지는 같이 공유한다. 물론 로체 허가증을 갖고 에베레스트를 오를 수도 있으나 이때는 에베레스트 등정 공인된 증명서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만약 이러한 허가증이 없이 산을 오르다 행정관에게 발각되면 상상을 초월하는 엄청난 벌금을 물게 된다. 네팔 정부는 각 원정대별로 행정관을 붙여 각 원정대 대원들을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는 제한된 원정비용으로는 모든 대원들의 에베레스트 입산료가 충분치 않아 2명만을 등정 신청하고 나머지 대원들은 로체로 등록했다. 사실 우리의 관심사는 에베레스트이지 로체가 아니었다. 물론 로체도 같이 등정하면 좋지만 그렇게 하려면 더 많은 시간과 자원이 필요하다. 나는 필요하다면 로체 건을 과감히 포기하고 모든 자원을 에베레스트에 집중하기로 마음먹고 있었다. 따라서 먼저 에베레스트 등정을 완료하고 여유가 된다면 대원들 상태를 봐서 로체를 시도할 생각이었다. 결국 로체 등정은 에베레스트 등정이 늦어지면서 자연히 포기하게 됐다.

 # 한마음 인천대학교 교수 에베레스트 트레킹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에서 생활하기 한 달 정도 지나서 위성전화로 대학에서 교수 트레킹단이 출발했다는 연락을 받았다. 처음에 나는 20명의 인원을 예상했는데 실제 6명이 합류했다. 그리고 산악부 OB 2명이 합류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그간 북한산 등 몇 달간 산행 연습을 했음에도 걱정되는 것은 고소다. 그리고 트레킹 시일도 매우 타이트해 여유를 둘 수가 없었다. 아마 대학의 행정문제로 더 이상의 시일을 늘릴 수가 없었던 것 같았다.
문제는 페르체까지는 별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페르체 마을에서부터 문제가 될 것 같았다. 보통 페르체에서 하루를 쉬는데 안 쉬고 바로 올라온다는 것이다. 아마 베이스캠프까지 오려면 촉박한 시간상 페르체에서 쉬면 위험하다. 시간에 맞춰 나는 일단 노부체 마을까지 달려 내려가 기다렸다. 밑에서 올라오는 네팔 가이드를 통해 교수 트레킹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한결같이 천천히 올라오고 있다는 것이다.

한나절을 기다렸다. 드디어 로지 안으로 6명이 들어왔다.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따뜻한 식사를 하게 하고 건강을 물었다. 다음 날 아침을 먹고 간단한 스트레칭을 하고 출발했다. 아니나 다를까. 한 명이 도저히 안 되겠다는 것이다. 사실 여기서 안 되면 빨리 하산하는 것이 팀과 자신을 위해 좋다. 포터를 한 명 붙여 페르체로 하산시켰다.
이제 남은 인원은 5명이다. 고랍섹에서 버티기만 하면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나 칼라파타르도 가능하다. 그러나 나머지 교수 트레킹 대원은 고랍섹에서 역시 힘들어했다. 어느 대원은 거의 눈을 감은 실정이고 어느 대원은 식사를 거의 못하는 수준이다. 이제 결정을 내려야 했다. 절대 고산에서 욕심은 금물이다. 만약에 한 번 실수는 돌이킬 수가 없는 것이다. 산은 나중에 다시 올 수 있지만 건강이 잘못되면 평생에 큰일인 것이다. 나는 힘든 대원 3명과 포터 2명을 남기기로 했다. 가능하면 하산을 권유했다. 하산은 빨리 할수록 좋은 것이다. 나는 두 교수 트레킹 대원만을 데리고 베이스캠프로 향했다.

 

   
 
# 베이스캠프에서 울려 퍼진 인천대학교 목소리

교수 트레킹은 우리 원정대에게는 매우 높은 상징성을 갖고 있었다. 한 달간의 무료한 베이스캠프 생활은 잘못 하면 의욕을 잃기가 쉽다. 한 달 정도 지나면 자극 또한 필요한 시점이다. 이때 교수님들의 베이스캠프에 응원 트레킹은 대원들에게는 큰 힘이 될 수 있고 큰 자극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미처 준비를 못한 식량과 장비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된 것이다. 예컨대 입맛을 잃은 대원들이 먹고 싶어하는 과자 혹은 간식류는 베이스캠프에서 큰 힘이 된다. 이러한 지원보급품에 대한 부탁은 이미 고랍섹에 있는 인터넷을 통해 수일 전에 했던 것이다.
그러나 따라나섰던 교수 트레킹 두 대원들도 힘들어하기는 마찬가지다. 쉽지 않은 길이다. 그 동안 변변히 쉬지도 못하고 줄곧 달려온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 두 대원을 얼마나 시간이 걸리든 베이스캠프로 인도해야 했다. 다섯 걸음마다 내려앉는 대원을 다시 다독거려 걸었다. 초조했다. 베이스캠프에서는 이미 환영 준비를 끝내고 기다리고 있었다. 베이스캠프까지는 보통 걸음으로 2시간이면 되는 거리다. 그러나 이미 피곤해 있는 몸을 재촉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기를 반복해 거의 5시간 넘어 도착했다. 일부 대원들이 물을 갖고 마중나왔다. 대원들을 보니 잠시 떨어져 있었지만 반가웠다.
대원들 모두 함께 기념사진을 찍었다. 대원들도 힘이 나는 듯했다. 그리고 교수님들이 대원들마다 손을 맞잡고 만세를 불렀다. 에베레스트에 울려 퍼지는 인천대학교 목소리였다. 눈물이 났다. 언제 에베레스트에 이런 순간이 있었는가. 
나는 곧 다시 두 명의 교수님을 인도해 고랍섹에 돌아왔다. 이미 고랍섹에는 힘들어하던 교수 트레킹 대원들이 하산한 상태였다. 일정상 칼라파타르를 포기하고 바로 하산하기로 했다. 사실 힘이 있다 하더라도 5천500m나 되는 칼라파타르는 쉽지 않은 길이다. 또한 하산도 힘이 어느 정도 있어야 내려갈 수가 있다. 힘을 소진하면 결국 조랑말이나 포터의 힘을 빌려 내려갈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다음 날 이들을 내려보내고 나는 다시 베이스캠프로 돌아왔다. <계속>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