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시대 조선은 유달리 창의력이 왕성했다. 세종대에 조선의 세계적인 발명은 29건이었는데 중국은 5건, 일본은 한 건도 없다.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나라는 모두 합해 28개라고 일본 도쿄대학에서 발행한 과학사사전이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세종대에 나온 새로운 발명은 무려 5천 건에 이른다. 가히 세종 르네상스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세종 르네상스를 이끈 세종의 창의적 리더십은 어디서 나왔을까? 최근에는 그의 불행한 유년 시절을 주목하고 있다. 1397년 조선 건국 5년째에 태어난 그는 피비린내 나는 두 왕자의 난을 온몸으로 겪으며, 정치게임에서 생존하려면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 본능적으로 체득했다. 그 결과 어린 시절 이도(세종의 자)는 아버지 태종에게 외갓집의 불충을 고자질해 민씨 일족을 도륙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또한 술자리에서 시부를 지어 타인들과 비교하며 잘난 체 하기를 좋아했고 식성은 고기가 아니면 잘 먹지를 않아 몸이 비만해 평생 47가지 질병을 달고 살았다. 셋째 충녕이 두 형 양녕대군과 효령대군을 제치고 대통(大統)을 이었다는 정통성의 시비도 지병처럼 따라 다녔다.
이런 악조건 속에서 세종은 어떻게 영명한 군주가 될 수 있었을까? 먼저 독서를 들 수 있다. 세종은 눈에 안질이 생길 정도로 맹렬히 책을 읽었다. 어쩌면 독서는 아버지 태종의 눈에 들기 위한 몸부림이자, 형제간 비교우위를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아버지 태종이 공부 잘하는 셋째아들에 대한 만족감을 피력한 장면이 여러 번 나오기 때문이다.
어쨌든 셋째 충녕은 왕이 됐으나 상왕 태종의 권력은 기세등등했다. 태종과 그 곁을 맴도는 노신하들 때문에 자신의 포부를 마음대로 펼치지 못했다. 게다가 즉위 이후 흉년이 계속됐고 재위 7년에는 대기근이 들어 민심이 폭발할 정도로 흉흉했다. 오죽했으면 강원도의 이각이 ‘지금 임금 때문에 못 살겠다. 차라리 양녕대군이 왕이 되었더라면 이러지는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해 역모죄로 잡혀왔을까.
하지만 세종은 호학의 자세, 겸손과 인덕의 풍모로 평균 20세나 많은 태종의 늙은 대신들의 마음을 얻는데 성공했다. 어릴 때 모순덩어리였던 그가 섬김과 인본주의 리더십의 군주로 바뀐 데에는 독서를 통한 끊임없는 자기수양이 있었고, 한편으로는 임질(淋疾)이라는 극심한 병통이 있었다. 오늘날 세종의 임질은 성병이 아니라 요로결석이라고 추측되지만 이 병을 통해 자신의 아픔뿐만 아니라 백성의 아픔도 대리체험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한번은 재상 허조가 종묘에 제사를 드리러 올라갔다가 계단에서 굴러 떨어졌다. 당시 목숨보다 소중하게 여겼던 종묘제사를 망쳤는데도 세종의 첫 일성은 ‘허조는 다치지 않았나?’였다. 그 다음 말은 ‘사람이 다치지 않도록 계단을 넓혀라.’였다. 허조의 실수에 대해서는 단 한 마디 언급도 없었다. 어느 누가 이런 세종의 배려에 감격하지 않겠는가. 결국 허조는 태종의 노대신 중 최초로 세종의 신하로 돌아섰고, 이후 세종을 위해 죽기 살기로 일을 하다 과로사했다. 비단 허조뿐만 아니라 6진을 개척한 최윤덕 등 세종시대에 순직과 과로사를 한 신하들이 유달리 많았다. 마음에서 우러나는 감군은(感君恩)이 아니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세종의 리더십은 황희·허조·맹사성와 같은 명재상, 김종서·최윤덕과 같은 명장, 이천·장영실·이순지과 같은 불세출의 과학자, 성삼문·신숙주와 같은 뛰어난 집현전 학자를 창조의 길로 이끌어 세종 르네상스를 만들고 조선조 500년의 표준을 세웠다. 그 결과 조선의 산업은 풍성했고 국방도 튼튼했다. 조선 건국 당시 국민 1인당 GNP는 불과 80달러였는데 세종 때 GNP는 200달러로 세 배로 늘어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1960년 우리나라 GNP가 80달러인 것을 생각하면 놀라운 경제수준이 아닐 수 없다.
세종실록에는 세종의 나라가 어땠는지를 다음 한 구절로 요약하고 있다. “왜인과 야인들도 세종의 위엄을 두려워하고 덕을 사모했고, 세종 30년간 백성은 전쟁을 보지 않고 편히 살면서 생업을 즐겼다(倭野人畏威懷德 三十餘年之間 民不見兵 按堵樂業).”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