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

 지난 2006년부터 격주로 실시됐던 ‘주5일 수업제’가 드디어 오는 3월 1일부터 전국 1만1천493개 초·중·고 중 99.6%가 전면 시행에 들어가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는 ‘완전 놀토’를 눈앞에 두고 교과부가 갑자기 주말 교육프로그램의 확대를 선포해 정규·방과 후 프로그램, 휴일 교육프로그램 등을 새로 짜기에 정신없던 일선 학교의 혼란을 가중시켰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일부 교육 주체는 놀토가 주는 시너지 효과들, 즉 학생들의 학습부담은 줄고 창의적 학습활동 등이 늘며, 교사는 근로시간 단축과 자기계발 시간 확대를, 학부모는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늘어나 가족 간 유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어린 시각에 대해 오히려 ‘철없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전면 주5일 수업제’를 앞두고 이미 입시 학원가는 놀토 특화반을 신설해 학생 유치에 혈안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장체험이나 예술공연 등 창의성이란 이름의 교육활동이나 학교프로그램에 참여할 학부모와 학생들이 과연 얼마나 될 것인가? 교사들도 냉소적이긴 마찬가지다. 법정수업일수가 그대로 유지되어 방학이나 휴가가 줄어 시간적으로 실익이 없다고 판단하는 데다 토요일마다 학내 학생들을 누가 지도할지도 딜레마다. 더욱 불편한 진실은 ‘완전 놀토’가 자칫 교육 양극화의 단초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고소득 가정 학생들은 주말마다 학원이든 체험학습이든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으나, 워킹푸어(working poor)같은 저소득 맞벌이 가정은 부모와 나들이는 그저 꿈일 수밖에 없고  대개 처지가 비슷한 또래들과 PC방 등에서 겉돌기 십상이다.
 20대는 본인의 학비를, 30대는 자녀양육비를, 40~50대는 자녀의 사교육비나 대학등록금 등을 ‘복지 지원 1순위’로 꼽고 있는 대한민국 경제활동인구에게 교육비용은 일종에 멍에다. 이렇듯 사회·경제적 가치의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교육 비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놀토가 우리에게 던져 놓은 화두 역시 ‘기회의 균등’이라 해도 무방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당국, 교사와 학부모, 학생 등 교육 주체들이 제대로 된 교육프로그램 만들기에 지혜를 모아야 한다. 잘못된 교육 시스템은 소득계층 간 교육기회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미래가 없는 청소년을 양산시키는 무덤이 될 수 있음을 모든 교육 주체가 유념해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